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Parents and Caretaker Worker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저자명
김민영(Kim, Min-Young) 김진우(Kim, Jin-Woo)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5권 제2호, 5~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이 이해하는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경험의 본질을 놓고 분석한 결과 ‘부모의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 : 보호적(의무적)’, ‘시설종사자의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 : 일방적,(폐쇄적)’, ‘’지적장애‘라는 손상을 가진 내 아이’, ‘책임져야하는 존재, 책임지지 못하는 존재’, ‘환경적 기회부족’, ‘의사소통을 꺼려하는 사회적 인식’, ‘배움이 변화의 시작’, ‘상처받지 않아도 되는 사회로의 전이’, ‘맞춤식 시설체계 및 프로그램 구현’, ‘보편적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묶음들은 결국 지적장애인과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함께 소통하고 싶지만, 사회적 인식, 여건이 여의치 않아 제한받고 있는 지금의 모습이라는 하나의 현상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로는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개인적 책임에서 사회적 책임으로의 변화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재조명해주고, 지적장애와 의사소통이라는 특수한 이론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mmunic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ir parents and caretaker workers in support facilities and look into the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ople.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ere as follows: mothers’ experience toward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was described as protective (obligated) while workers’ experience was expressed as unilateral and exclusive. Mothers and workers also answered to the three other questions as follows: “My child damag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omeone I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someone I cannot take responsibility for” “lack of opportuniti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ocial perception against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starts changes” “transfer of a society without being hurt” customized facilities and implementation of P/G” and “promoting public awareness of universal communication.” These keywords show that mothers and workers feel the ne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they face limitations due to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research outcome gives 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study serves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and look further into the essence of the challenges mothers and worke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Second,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y of social welfare by applying the causes of the challenges to various disability paradigm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영(Kim, Min-Young),김진우(Kim, Jin-Woo). (2011).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 (2), 5-36

MLA

김민영(Kim, Min-Young),김진우(Kim, Jin-Woo).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2(2011): 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