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성소수자 청년의 성정체성형성 경험

이용수 308

영문명
The Experience of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Sexual Minority Youths: “focused on Eliason & Schope(2007)’s analytic framework”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저자명
정혜숙(Chong, Hye-Suk)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15권 제3호, 3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소수자 성정체성형성에 관한 Eliason and Schope(2007)의 분석틀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성소수자 청년의 경험을 질적연구방법으로 고찰하였다. 참여자 9명과의 심층면담자료의 분석 결과 위 분석틀의 주제들이 실증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 참여자들은 학령기에 자신의 성적지향 혹은젠더표현이 사회문화적표준이나 또래경험과 “다르다라는 느낌”을 경험하면서 성정체성에 대한 의문과 탐구를 시작하게 된다. 서구와 다른 점은 한국의 경쟁적 입시문화와 동성애혐오 환경에서 청소년기 정체화 작업이 억압되거나 대학이후로 연기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성정체성 ‘공개’는 그들에게 보편적 욕구임이 분명하지만, 공개 여부 자체가 성장을 가름 짓는 조건은 아니다. 개인의 고유상황에 따른 안전, 자기결정, 소통 등의 욕구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공개’와 ‘비공개’의 욕구 모두 당사자의 선별적 선택수행의 자유와 자율의 관점에서 존중되어야 한다. 위 분석틀의 국내 적용가능성과 사회복지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sexual minority youths for empirical validation of Eliason and Schope(2007)’analytic framework. The themes of the analytic framework are identified as clinically significant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with 9 participants. For instance, they started with a feeling of differentness(from social standards or peers) to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expression and made endeavors to pursue their sexual identity. The uniqueness of the experience is that Korean adolescents could delay or repress their identifying work till after college due to the competitive exam system and homophobia environments in Korea. Although the need for disclosure is verified as universal among sexual minorities, it is not the requisition to determine their development itself. It leads to the notion that all needs for ‘disclosure’ and ‘closure’ should be understood as insiders’ selective choices in respect for their freedom and autonomy. Transferability of the analytic framework an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in Korea are presented.

목차

1. 연구 배경과 연구문제
2. 이론적 배경
3. 질적연구방법
4. 연구결과
4. 논의 및 시사점
5.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숙(Chong, Hye-Suk). (2021).한국 성소수자 청년의 성정체성형성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5 (3), 31-60

MLA

정혜숙(Chong, Hye-Suk). "한국 성소수자 청년의 성정체성형성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5.3(2021): 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