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용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178
- 영문명
-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Effect Scale for College Students: Focused on Sahmyook University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정성진(Chung, Sung-Jin) 박희성(Park, Hee-Sung) 최혜빈(Choi, Hye-Bin)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신학과학문 제23권 제3호, 83~11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삼육대학교 재학생들의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육대학교의 교육이념을 재개념화하여 보편적인 인성교육의 영역과 차원을 연결시켜 측정도구의 구조를 4영역(도덕적 인지, 도덕적 정서, 도덕적 행동, 영적 요소)과 2차원(개인적, 관계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한 인성 요인들을 4영역 2차원에 배정하면서 통합 및 정리하여 자기이해, 양심, 타인이해, 공동체의식, 자기존중, 인내, 공감, 자비, 자기관리, 책임, 소통, 돌봄, 기독교 세계관을 하위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하위요인의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기존의 척도 문항들과 새로 개발한 문항들로 예비문항 130개를 만들고, 삼육대학교 재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58문항으로 정리하였다. 넷째,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내적 일치도 계수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on Sahmyook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y reconceptualiz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ahmyook University and linking the domains and dimensions of universal character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ool is divided into 4 domains (moral cognition, moral emotion, moral behavior, spiritual element) and 2 dimensions (personal, relational) was selected. Second, the character factor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re allotted to the 4 domains and 2 dimensions, and integrated and organized so that self-understanding, conscience, understanding others, community consciousness, self-respect, patience, empathy, compassion, self- management,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care, and the Christian worldview was selected as a sub-factor. Third, 130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from the existing scale questions and newly developed questions that mee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ub-factors, and the final questions were organized into 58 question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392 students at Sahmyook University. Fourt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Finally,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ssues with the Transfer of Sin in Leviticus
- Response to Dr. Keemun Sung for the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115th anniversary of Sahmyook University
-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f Ellen G. White and John Dewey through a Linguistic Lens
- 수치심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 대화의 지혜
- 『주홍글자』에 나타난 청교도주의의 배타성과 이중성 고찰
- 대학생용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 개발
- 섣부른 휴머니즘을 넘어선 선교
- The Power Struggle and the Narrative of the Weak in Anne Brontë’s Agnes Grey
- Cutting the Gordian Knot? :For What did Aaron the High Priest Atone in the Holy Tent of Yahweh?
- 아웃소싱 자본주의와 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