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뮤지컬 <디어 에반 한센(Dear Evan Hansen)>의 동시대성과 보편성

이용수 170

영문명
The Contemporaries and Universality of the Musical Dear Evan Hansen: The Process of Deficiency, Desire, and Subjectification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최승연(Choi, Seung Youn)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5호, 58~95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뮤지컬 <디어 에반 한센>은 10대 자녀와 부모 사이의 갈등, 인터넷 가상공간 안에서 벌어지는 소통의 풍경, 온라인상에서 벌어지는 왜곡된 소통 방식과 가상 정체성의 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담고 있다. 이 논문은 <디어 에반 한센>의 동시대적 주제가 보편성을 갖는다는 전제 아래, 작품의 주요 사건을 만든 ‘에반의 거짓말’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보이는지 분석함으로써 에반의 불안장애 양상을 다루는 작품의 드라마가 보편적으로 소통될 수 있는 지점들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이혼으로부터 배태된 에반의 불안 장애와 신시아로 대표되는 코너 가족의 결핍, 그리고 엘레나가 서로 연동되어 있는 방식을 다룬다. 실제 자신의 이야기를 토대로 만든 에반의 거짓말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코너 가족은 그 과정에서 결핍을 충족시킨다. 그런데 에반의 이야기가 모두 거짓말임이 밝혀진 이후 에반과 코너 가족은 각자 자신의 삶을 특별한 변화 없이 이어나갈 뿐, 드라마틱한 다툼이나 화해 혹은 오해의 해소와 같은 극적인 결말을 보이지 않는다. 대신 공연의 결말은 에반이 내적 성장을 이루는 모습을 그린다. 이러한 에반의 성장과 코너 가족의 모습에서 이 작품이 영미권의 다양하고 다층적인 관객들에게 폭넓은 공감대를 일으키고 있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불안 장애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동시대의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겪고 있는 문제일 수 있으며, 에반이 진실과 거짓을 섞어 가상현실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주체화의 모습은 보편적 지점에서 소통의 포인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에반 한센이다(We’re Even Hansen)’라는 공연의 카피는 바로 이 지점을 가리키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usical Dear Evan Hansen contains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conflicts between teenage children and parents, landscapes in which Internet virtual spaces replace direct communication, distorted communication and virtual identity issues online.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Evan’s anxiety disorder, which was assigned from parental divorce, the lack of Connor’s family represented by Cynthia, and the way Elena is interconnected by analyzing the mechanism of “Evan’s Lie,” which created the main event of the work. Through this, the contemporary landscape covered by the work and the internal growth of Evan are observed. Evan’s lies, created by mixing his own stories, create a big impact and the Connor family satisfies the deficiency in the process. However, Evan and Connor’s family only continue their common lives without any special changes after the end of all events, and do not show any solutions to happy endings such as dramatic reconciliation or resolution of misunderstanding. Instead, the end of the performance depicts Evan’s dream of achieving internal growth. From Evan’s growth and the appearance of Connor’s family, we can find out why this work is creating a wide consensus among various and multi-layered audiences in the British and American regions. Anxiety disorder is not special, but on the one hand, it may be a problem that many contemporarie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appearance of subjectivity obtained through Evan’s process of creating virtual reality by mixing truth and falsehood has a point of communication at a universal point. The copy of the performance, “We’re Even Hansen”, points to this facet.

목차

Ⅰ. 들어가며: <디어 에반 한센>의 동시대성
Ⅱ. 에반의 불안과 결핍
Ⅲ. 현실과 가상의 동일시: 결여 위의 결여
Ⅳ. 소통 단절에 놓인 동시대의 초상
Ⅴ. 나가며: ‘우리는 에반 한센이다(We’re Evan Hanse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연(Choi, Seung Youn). (2021).뮤지컬 <디어 에반 한센(Dear Evan Hansen)>의 동시대성과 보편성. 연극예술치료연구, (15), 58-95

MLA

최승연(Choi, Seung Youn). "뮤지컬 <디어 에반 한센(Dear Evan Hansen)>의 동시대성과 보편성." 연극예술치료연구, .15(2021): 58-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