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이해 및 탐색: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이용수 895

영문명
Understanding and Exploring Mirror Neurons: Relationship with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경년(Kim, Kyung Nyu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8호, 171~2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이론 체계를 조망하여 상징적 상호작용의 작동 기제를 거울뉴런이 어떻게 그 근거를 제공하는지 고찰하고 또한 거울뉴론의 의미를 분석하여 교육학적 적용과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연구의 초점을 학교의 실제 생활에 위치시키며 학교에서 일어나는 명시적 혹은 묵시적 상호작용과 실천에 대한 이해 제고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Mead 이론에서는 어떻게 정신, 자아,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출현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거울뉴론은 Mead 이론에 대한 작동기제를 제시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두 이론의 의미와 행동 이해, 상상적 시연과 체화된 시뮬레이션, 자아 발달에서 타자 역할, 사회와 거울뉴론의 선후관계를 상호연관시키고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뇌 과학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거울뉴론 연구를 교육학 연구자의 관점에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Mead 이론에서 제시하지 않은 거울뉴런의 지각-행동 체계에 의한 전의식적 과정을 통해 우리가 타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이해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지각-행동 체계와 전의식적 관점에서 주요한 교육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목표, 인식체계, 맥락체계, 교수-학습활동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거울뉴론 연구의 학문적 유행에도 불구하고 교육학적 의미에 대해서 국내외에서 드물게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울뉴론 이론의 교육학적 의미와 활용 가능성 탐구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Mead s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TI), to examine how mirror neurons provide the basis for the working mechanism of symbolic interaction, and to explore pedagogical applications and utilization potential by analyzing the meaning of mirror neurons. STI placed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real life of schools and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explicit and implicit interactions and practices occurring in them. However, in Mead s theory, there is no empirical basis for how the mind, self, and society emerge and are maintained based on social interaction. The mirror neuron theory implicates the working mechanism for Mead’s theory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TI. This study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two theories by correlating an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action understanding, imaginary rehearsal and embodied simulation, the role of others in ego development, and the antecedents of society and mirror neurons. In this process, mirror neuron research conducted by brain scientists is presented in an easier-to-understand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researchers. Above all,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way we understand how we learn behavior by observing the behavior of others through the preconscious process of perception-action coupling of mirror neurons, which was not suggested in Mead’s theory. Major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se perceptual-behavioral systems and preconscious perspectives, and they were explor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gnitive systems, context syste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목차

I. 머리말
Ⅱ. 상징적 상호작용론 개관
Ⅲ. 거울뉴런(Mirror Neurons) 이론 탐색
Ⅳ. 거울뉴런이 제시하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경험적 근거
Ⅴ. 거울뉴런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년(Kim, Kyung Nyun). (2021).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이해 및 탐색: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교육학연구, 59 (8), 171-201

MLA

김경년(Kim, Kyung Nyun). "거울뉴런(mirror neurons)의 이해 및 탐색: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관계 및 교육학적 의미." 교육학연구, 59.8(2021): 171-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