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다운 학교’ 운영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의미 - 유치원, 초등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432

영문명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operation of ‘Jungdaun School’: Focusing on ca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nagement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강승모(Kang, Seung Mo) 임경원(Lim, Kyoung Won) 김주희(Kim, Joo Hee) 오현준(Oh, Hyun Jun) 김수지(Kim, Su Ji) 김승지(Kim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6권 제2호, 103~1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다운 학교’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차원에서 통합교육을 실천한 ‘정다운 학교’의 유치원, 초등학교 일반교사 3명과 특수교사 4명, 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면담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다운 학교’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과 의미는 ① ‘통합교육은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② ‘통합교육 실천은 교사의 전문성과 협력, 학교차원의 접근 속에서’, ③ ‘정다운 학교를 넘어 모두를 위한 학교로’의 3개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 14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음식 통합교육(integrated education)이 아닌 포함식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으로 통합교육 성격이 규정되어 학교 단위에서 포용적 교육 정책이 실천될 수 있도록 학교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통합교육 수업실천에 대한 공동주도성(Co-agency) 및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원리에 기반한 특수교육적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정다운 학교에서 실천한 통합교육의 일반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통합교육 제도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operation of Jungdaun school in the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is, thre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from April to May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e were analyzed in three upper categories, seven lower categories, and 14 semantic units: ① Inclusive education for all, ②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eachers’expertise and cooperation in the dimension of school, ③ School for all beyond Jungdaun school.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meaning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built so that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can be implemented at the school level by defining the nature of school inclusive education rather than integrated education. Second, general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have co-agency in the practice of inclusive school education classes and expertise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Third, for the gener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ed,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inclusive educ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승모(Kang, Seung Mo),임경원(Lim, Kyoung Won),김주희(Kim, Joo Hee),오현준(Oh, Hyun Jun),김수지(Kim, Su Ji),김승지(Kim. (2021).‘정다운 학교’ 운영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의미 - 유치원, 초등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교육연구, 16 (2), 103-130

MLA

강승모(Kang, Seung Mo),임경원(Lim, Kyoung Won),김주희(Kim, Joo Hee),오현준(Oh, Hyun Jun),김수지(Kim, Su Ji),김승지(Kim. "‘정다운 학교’ 운영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의미 - 유치원, 초등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교육연구, 16.2(2021): 103-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