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별 교사협력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43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 Collaboration by Job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범주(Kim, Bum-Joo)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8권 제3호, 335~3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의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4차(2015년)부터 6차(2017년)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별 교사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협력은 수업, 생활지도 및 학급운영, 행정업무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학교수준의 패널데이터로 구성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구분한 직무영역에 따라 교사협력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행정업무의 경우 업무비중을 고려할 때 협력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업무시간비율을 통제한 상태에서 교사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직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업에 관해서는 교수자 특성, 특정 경력의 교사 비율, 설립유형,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유의했으며, 생활지도 및 학급운영에 관해서는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행정업무에 관한 협력에는 교수자 특성만이 유의했다. 전반적으로 학교장지도성, 학교풍토와 같은 학교운영 특성은 교사협력 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업개선활동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교사들의 사기와 열의를 제고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의 교사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업무비중이 늘어나야 하며, 이는 다른 영역의 업무비중이 그만큼 조정되어야 함을 뜻한다. 통제변수로 투입한 직무영역별 업무비율이 해당 영역의 교사협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eacher collaboration by job using data from the 4th(2015) to 6th(2017) middle school data of GEPS. Teacher collaboration is divided into classes, life guidance & class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work areas. Also, panel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by consisting of school-level panel data. As a result, first, the degree of teacher collabor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job are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work, the degree of collaboration is relatively low when considering the weight of work. Second, when controlling the working time ratio by job,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 collaboration a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job. About the classes, it is significant that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 the proportion of teachers with the specific numbers of working years, the type of establishment, 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students. And onl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student is significant when it came to life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s are significant for collaboration in administrative work areas. Overall, it is found that school management characteristics such as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climate don t significantly explain the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o promote teacher collaborat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could take place actively and to seek ways to enhance teachers morale and enthusiasm. In addition, to promote teacher collaboration in a specific area, the proportion of related work must be increased. Indeed, it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work in other areas must be adjusted accordingly. This is because the overall effect of the work ratio for each job area as a control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s the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in that a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범주(Kim, Bum-Joo). (2021).직무별 교사협력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 (3), 335-359

MLA

김범주(Kim, Bum-Joo). "직무별 교사협력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3(2021): 335-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