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이용수 457

영문명
Longitudinal Transition and its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윤채영(Yun, Chae young) 기희경(Kee, Hee kyung) 강승희(Kang, Seung hee)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6호, 129~15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의 전이양상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05 7~9차년도 대학생 1,422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 잠재전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학업성취도의 잠재계층은 최종적으로 상, 중, 하 3개 집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학업성취 잠재계층의 종단적 전이양상을 알아보고자 잠재전이분석을 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집단과 중 집단의 경우 약 90% 이상 안정성을 유지했으며, 하 집단의 약 60% 이상이 중 집단 이상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집단에 따른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9차년도 대학교 4학년 시점에서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수준집단과 중 수준집단을 구분하는 영향요인은 대학소속감, 대학적응, 대학풍토였으며, 학업성취 중 수준집단과 하 수준집단에는 대학적응이 예측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지만, 잠재계층에 따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마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7th to 9th year panel dataset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05 an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latent classes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of 1,42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three groups: upper, middle, and lower. Second, the results of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 and st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mained more than 90% in the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iddle group, and more than 60% of the lower group were transferred to more than the middle group.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group at the 9th year, senior in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belonging, college adaptation, and college climate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 level group and middle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daptation had predictive effects in the middle level group and the low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is improved steadily as the grade increases,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other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채영(Yun, Chae young),기희경(Kee, Hee kyung),강승희(Kang, Seung hee). (2021).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교육학연구, 59 (6), 129-156

MLA

윤채영(Yun, Chae young),기희경(Kee, Hee kyung),강승희(Kang, Seung hee).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교육학연구, 59.6(2021): 129-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