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893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meritocracy beliefs of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백병부(Baek, Byoung-Bu) 심재휘(Shim, Jaehwee)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1권 제3호, 89~1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수집한 조사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 능력주의 현실 인식,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 분배 원칙 선호 유형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우리 사회에서 능력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갖고 있었다. 반면 이들 청소년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는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배원칙에 대한 선호 유형에서도 주관적 계층의식 수준에 따라 ‘능력 > (기계적) 평등 > 필요’의 순으로 선호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청소년들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학생들은 분배 과정에서 능력주의를 관철하는 것보다는 필요의 원칙을 배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수행한 다집단분석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정의교육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을 완화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믿는 정도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를 선호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 정당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주의 신념에서 드러나는 계층편향성을 극복하고 학교를 ‘위대한 평등장치’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s subjective social status, perception of meritocracy,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in 2020.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he stronger the belief of meritocracy being realized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se students don’t take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relatively seriously. In the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a hierarchic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order of ‘ability > (mechanical) equality > ne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confirming the class biases of meritocracy belief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a strong perception of meritocracy prefer the principle of equity as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This result can be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of this study.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who view our society as a meritocracy society are more interested in exclud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an implementing meritocracy in the distribution process. Finally, in the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alleviates the class biases i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le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meritocracy and the preference for equity principle of distribu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measure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class biases revealed in the meritocracy belief and to restore the school as a great equalizer .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병부(Baek, Byoung-Bu),심재휘(Shim, Jaehwee). (2021).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31 (3), 89-119

MLA

백병부(Baek, Byoung-Bu),심재휘(Shim, Jaehwee).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31.3(2021): 89-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