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출신 이주청소년들이 경험한 초국적 불안정성 -학력 중단 이후 교육 및 진로탐색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67

영문명
Transnational precarity experienced by Chinese migrant youths : Focusing on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after school dropout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채소린(Chai, So-Lin)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1권 제3호, 177~21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기에 부모가 있는 한국으로 이주하게 된 조선족 청소년들의 교육과 진로탐색 경험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한중 양국 모두에서 사회의 중심부로 통합되기 어려운 현실에 주목하였다. 즉, 이주 과정에서 학력 중단을 경험한 이주청소년들의 교육과 노동 경험 분석을 통하여 이들 삶의 초국적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대안적 사유를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이주청소년들은 한국과 중국 모두에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한국과 중국 그 어디에도 뿌리 깊이 정착하지 못한 채 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처해있었다. 가족, 교육, 노동, 국가와 맺고 있는 관계가 총체적으로 불안정한 가운데 이주청소년들의 한국 사회 적응과 통합을 위한 각종 실천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이주노동자의 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이주청소년들이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청년 프레카리아트 집단으로 남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사회적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주청소년에 관한 지원정책과 사회적 인식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주청소년들의 교육권과 직업선택권이 더욱 다양한 차원에서 보장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도입국청소년 지원정책이 변화해야 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한국 이주 후 직면했던 학력 중단 경험, 진로계획의 부재, 학교 밖 학력 취득의 어려움, 직업교육 이후의 안정적 일자리 확보의 어려움 등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가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 주류사회 진입과 사회적 이동 가능성 확보’라는 측면으로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시대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이주청소년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에서 청년기로 이행하고 있는 이주청소년들에 대한 관점을 전환해야 한다. 이주청소년이 갖고 있는 한국 생활에 대한 기대와 청년으로서 열망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은 이주노동자로서의 삶에 국한되어 있지 않았다. 이들은 한국 이주 후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문화적, 지적 성장을 지속하며 상향이동 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향후에는 이주청소년들이 한국 주류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도입국청소년 정책과 사회통합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Korean-Chinese youths who migrated to South Korea in their teenage years to be integrated into the center of society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lternative thoughts to reduce the transnational precarity of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of migrant youths who experienced school dropout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ut-of-school migrant youths were connected to both South Korea and China, but at the same time, were in a paradoxical situation of being located on the social margins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migrant workers as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education, labor, and the state were generally precarious. Therefore, in order for migrant youths to move to a more stable social position rather than remain as a youth precariat group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it is necessary to change policies and social perceptions regarding migrant youth.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for migrant youth in such a way that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choose a job can be guaranteed in more diverse ways. Therefore, the policy goal needs to be readjusted in terms of Securing the possibility of entry into South Korea s mainstream society and social mobility of immigrant youths .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migrant youths who spend their adolescence in South Korea and are transitioning to adult. The future they aspire to as a young people were not the lives as migrant workers. In the future,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needs to be readjusted in such a way that migrant youth can enter South Korea’s mainstream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소린(Chai, So-Lin). (2021).중국 출신 이주청소년들이 경험한 초국적 불안정성 -학력 중단 이후 교육 및 진로탐색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31 (3), 177-211

MLA

채소린(Chai, So-Lin). "중국 출신 이주청소년들이 경험한 초국적 불안정성 -학력 중단 이후 교육 및 진로탐색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31.3(2021): 177-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