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전래놀이 자원 활용실태 및 요구

이용수 72

영문명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Child Care Teachers on Resources of Traditional Play
발행기관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저자명
박현정(Hyeon-Jeong Park) 박선미(Sun-Mi Park)
간행물 정보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제8권 제1호, 2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전래놀이를 위한 보육현장의 인적, 시간적, 물적자원 활용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보육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인적자원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래놀이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유년기 거주 지역이 읍면리 지역이었을 때 전래놀이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전래놀이가 영유아보육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전래놀이에 대한 강연이나 연수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전래놀이의 시간·물적 환경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한 결과, 전래놀이를 활용하는 횟수는 연 1-2회가 가장 많았고, 전래놀이를 주로 활용하는 시기는 명절 등 특별한 행사기간에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관에 전래놀이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는 정도는 도시 지역에 소재한 기관보다 읍면리 지역에 소재한 기관이 전래놀이 공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전래놀이를 주로 실시하는 곳은 유희실과 교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관 주변의 전래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곳은 공터, 공원의 순이었으나 실제 활용하는 곳은 동네 놀이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래놀이를 위한 시간·공간적 환경 마련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영유아를 전래놀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전래놀이와 관련된 활동 시 교사들이 참고하는 자료는 인터넷 검색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래놀이를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understand childcare teachers’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n human, time, and physical resources of traditional play in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terest was close to normal and when teachers lived in the country as a child, the teacher was very interested in traditional play. Generally,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play was necessary for educare. However, most teachers said they had never received a lecture or education on traditional play.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 use and operation of traditional play in childcare centers as a material resource for traditional play,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raditional games were played once or twice a year, and that traditional games were played during special events such as holidays. Th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appropriate when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enough space for traditional play. However, there were more places for traditional play at childcare centers in rural areas than at city-based centers. Most of the places for traditional play were play rooms and classrooms. Teachers thought it was suitable as a place for traditional play around working childcare centers, in the order of empty lots, parks, school playgrounds, neighborhood playgrounds, and mountains. Induci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traditional play events was the best wa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traditional play, and the next best way was to create a place for traditional play. When teachers were teaching traditional play, they used internet searching a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shee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정(Hyeon-Jeong Park),박선미(Sun-Mi Park). (2021).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전래놀이 자원 활용실태 및 요구.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8 (1), 29-52

MLA

박현정(Hyeon-Jeong Park),박선미(Sun-Mi Park).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전래놀이 자원 활용실태 및 요구."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8.1(2021): 2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