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이용수 45

영문명
Exploring the Imagination and Aesthetics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cience Class using Aesthetic Experience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문지영(Mun, Jiyeong) 손서진(Son, Seojin) 김성원(Kim, Sung-Won)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5권 제3호, 179~19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미적 경험을 강조한 수업을 개발하고 이 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과학적 상상력의 변화 및 특성을 탐색하고 학생들이 인식한 과학의 심미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전 연구에서 수행한 교사들의 과학의 심미성과 미적 경험 수업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수업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경기도 소재 중학생 97명에게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전에 개발한 과학적 상상력 도구를 수정하여 수업 전후에 실시한 상상력 검사에서 유의한 상상력 변화를 확인하였고 하위요소인 정서적 이해에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유의하게 더 큰 폭의 향상을 가져왔다.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총 280회의 온라인 자유 게시글을 통해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상상력의 특성과 학생들이 인식한 과학의 심미성의 특성을 찾았다. 수업 프로그램의 내용과 활동에 따라 다르지만, 상상력은 정서적 이해와 연관성 발견이, 과학의 심미성은 외적형식미와 상호작용에 내재된 감정이 학생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이 수업은 학생들에게 상상력을 자극하고 과학의 심미성을 통한 긍정적인 과학에 대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현장에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a course that emphasize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tudents, explor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imag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lass, and explored the aesthetics of science perceived by the students. To this end, teach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esthetics of sc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classe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Based on this, a regular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16 classes were conducted for 97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By modifying the previously developed imagination tools, significant changes in imagination were confirmed in the imagination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rough a total of 280 free online postings written by students after class,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experienced by students in class and characteristics of aesthetics of science perceived by students were defined. Although it differ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class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imagination was connected to emotional understanding and the aesthetics of science helped students showed the external beauty of style and the emotions inherent in interaction.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및 절차
III. 연구 결과
I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지영(Mun, Jiyeong),손서진(Son, Seojin),김성원(Kim, Sung-Won). (2021).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5 (3), 179-195

MLA

문지영(Mun, Jiyeong),손서진(Son, Seojin),김성원(Kim, Sung-Won). "미적 경험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중학생의 상상력과 과학의 심미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5.3(2021): 179-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