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Content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유창완(Yu, Chang-Wan) 양종현(Yang Jong-Hyun) 박정준(Park, Jeong-Jun)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5권 제3호, 196~206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 체육수업 상황에서 활용할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4명의 교수진과 4명의 학교체육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분석, 원격 체육수업의 형태 및 어려움 등을 파악하고 콘텐츠 개발 예시를 제작하였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성취기준의 재구성 원칙과 방법을 구안하여, 영역은 5개에서 4개로 조정하고, 성취기준은 ‘유지’, ‘통합’, ‘수정’, ‘이동’ 의 방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해 신체활동 예시를 선정하고, 단원별 주제, 주요 학습 활동, 교수·학습 전략, 평가 방법이 포함된 콘텐츠 개발 예시를 상세화하였다. 향후 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개발 방향은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은 원격 체육수업 비중에 따라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원격 체육수업에서 수행할 ‘변형 신체활동’을 활용하되, 기존 신체활동과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 셋째, 일방향의 동영상 콘텐츠 활용형보다는 ‘실시간 쌍방향형’ 콘텐츠로 개발해야 한다. 향후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행평가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현재보다 다양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developing content to be utilized in online physical education(PE) class situations. Four faculty members and four school sports content production experts produced examples of content development after identifying the forms and difficulties of PE curriculum analysis, online PE class content analysis, and online PE classes.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restructuring the areas of PE curriculum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adjusted from five to four,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restructured in the categories of ‘maintenance’, ‘integration’, ‘modification’ and ‘movement’. Examples of physical activities were selected to develop content for online PE classes, and details of content development examples were defined, including topics for each unit, major learning activiti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online PE classes is as follows. First, the PE curriculum should be restructured following the proportion of online PE classes. Second, while utilizing ‘modified physical activity’ to be carried out in online PE classes, it should be aligned to existing physical activities. Third, it should be developed as ‘real-time interactive’ content rather than one-way video conten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online 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and adopt diversified ways to reflect performance evaluations.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창완(Yu, Chang-Wan),양종현(Yang Jong-Hyun),박정준(Park, Jeong-Jun). (2021).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5 (3), 196-206

MLA

유창완(Yu, Chang-Wan),양종현(Yang Jong-Hyun),박정준(Park, Jeong-Jun). "원격 체육수업 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5.3(2021): 196-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