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비판적 분석

이용수 896

영문명
Critical analysis of the high school “Theory of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교육원리학회
저자명
이상준(Sangjun Yi)
간행물 정보
『교육원리연구』제26권 제1호, 23~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에서 생성되는 교육관은 대중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2022 개정 커리큘럼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수강과목의 자유도가 확대되는 추세에서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학”은 교원양성기관의 진학을 희망하거나 평소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은 학생들의 교육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된다. 이 논문은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커리큘럼의 교양과목으로 편제되어 있는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학과 교육에 대한 구분이 미흡하고 교육 그 자체에 대한 규정과 가치에 대한 논의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학교의 역사를 교육의 역사로 규정하여 그 범주와 범위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다른 교과와의 내용 중복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추후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개선 방향으로 첫째, 교육 자체에 대한 규정과 그 목적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의 역사가 아닌 교육 자체에 대한 역사 서술이 필요하다. 셋째, 다른 학문의 이론이 아닌 교육학 자체의 이론을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내용영역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view of education created in schools can be see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Ahead of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tudents degree of freedom in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is expanding.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Theory of Education courses will increase. It is assumed that this will affect the view of education of many students. This thesis aims to seek improvement direc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ory of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organized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heory of Education and education was insufficient,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e discussion of the regulations and values of education itself. Second, the history of schools was defined as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there was a problem with its category and scope. Third, there was a problem of duplication of content with other subjects. As for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first, it should include the regulations for the education itself and the contents of its purpos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history of education itself, not the history of the school. Third, it is needed that the domain of Theory of Education itself, not the theory of other disciplines, should be included as the content domain of Theory of Education.

목차

Ⅰ. 학교 안의 “교육학”
Ⅱ.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분석을 위한 관점
Ⅲ.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변천
Ⅳ.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 분석
Ⅴ.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 구성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준(Sangjun Yi). (2021).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비판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6 (1), 23-47

MLA

이상준(Sangjun Yi). "고등학교 “교육학” 교과 커리큘럼의 비판적 분석." 교육원리연구, 26.1(2021): 2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