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이용수 755

영문명
A Study of How to use Digital Literacy in Arts Education : Focused on Interactivity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신동인(Shin, Dong In) 박미리(Park, Mi Ri) 이유정(Lee, Yu Jung) 고민수(Ko, Min Soo) 정소라(Jeong, So Ra)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2호 특별호, 80~165쪽, 전체 8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13,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예술교육이 가능한 수업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가 시의적절한 이유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상호 작용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인간중심과 창의성, 융합과 통합 그리고 현실 감각 고취의 4가지로 된 교육 모델을 정립하였다. 또한, 실제로 수행되었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형태를 살펴보고 예술 강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설문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다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uwab)이 주장한 4차 산업혁명의 사회에서 필요한 4가지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예술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즉 정보의 처리 과정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았고, 결과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예술교육에서 발생하는 상호소통에 대하여 새로운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은 일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수업 안에서 소비하는 소비자로서 강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콘텐츠 간의 활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였다. 이 후, 수업 안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재생산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로 변화하고, 다시 그 콘텐츠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형태로 상호 작용의 선 순환적 과정을 반복 경험하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예술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정보 리터러시 능력을 기본으로 하되, 정보에 내재한 인문학적 배경 관련 교육이 제공될 때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ts by exploring ways to utilize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in the arts education field and establishing a teaching model that enables effective arts education. The reason this research is timely is that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more than ever, due to the global Corona Pandemic.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art education for interactivity was investigated, and an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human-centered and creativity,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nd a sense of reality was established. Next, we looked at the for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at were actually conducted, and reviewed the digital literacy skills of art instructor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we developed a program that utilizes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conducted actual classes, then analyzed them. In th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our virtues claimed by Klaus Schuwab to be needed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is, we found out which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made between art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sultingly, a new stage could be identified for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art education using unique digital literacy. Students experienced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contents as consumers who primarily consume digital contents delivered by art lecturers in class. Then, reproduce one s own contents in the class,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could be seen in the form of the students changing into a producer who produces digital contents and accepting and consuming the contents again. The role of arts education experts is the most important to create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when education related to the humanities background embedded in information was provided while prioritizing digital literacy skills as a basis for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of art instructors.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추진 방향 및 방법
II. 디지털 리터러시의 상호 작용성과 예술교육
1.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교육
2. 디지털 리터러시의 상호 작용성 중심 예술 교육 모델
Ⅲ.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전 연구
1.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다양성
2. 실제 교육 현장 사례 –H 예술고등학교의 경우
IV. 상호 작용성을 활용한 시범 프로그램 개발 및 사례 분석
1. 예술 강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설문지 개발 및 예비 조사
2. 상호 작용성을 활용한 시범 프로그램의 개발
3. 상호 작용성을 활용한 시범 프로그램 사례 분석
4. 상호 작용성을 활용한 수업 모델에서의 예술 강사 역할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동인(Shin, Dong In),박미리(Park, Mi Ri),이유정(Lee, Yu Jung),고민수(Ko, Min Soo),정소라(Jeong, So Ra). (2020).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연극예술치료연구, (12(특별호)), 80-165

MLA

신동인(Shin, Dong In),박미리(Park, Mi Ri),이유정(Lee, Yu Jung),고민수(Ko, Min Soo),정소라(Jeong, So Ra). "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연극예술치료연구, .12(특별호)(2020): 80-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