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3

영문명
Developing Competency-Based Management Curriculums by Position Lev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진모(Jin-Mo Kim) 이진화(Jin-Hwa Lee) 주현미(Hyun-Mi Ju) 이정은(Jung-Eun Lee)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9권 제4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층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계층구조 및 특성 규명,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 개발, 학습개입 설계의 세 단계로 구성된 개발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계층구조 및 특성을 규명한 결과, 3년 미만 일반지도사, 3년 이상 7년 미만의 일반지도사, 7년 이상 20년 미만의 일반지도사, 20년 이상의 일반지도사, 담당 계층, 중간 관리자 계층, 경영자 계층 등 7단계의 계층구조가 설정되었다. 계층별 역량 개발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20년 이상의 일반지도사와 담당 계층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육과정의 레벨을 설정함에 있어서 20년 이상 일반지도사와 담당 계층을 통합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을 개발한 결과, 지도입문프로그램, 지도실무프로그램, 지도전문프로그램, 팀리더프로그램, 변화리더프로그램, 경영자 워크숍 등 6개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다음으로 역량별 학습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설정된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교육 프로그램별 모듈을 구성하고 설계하였으며, 전문가협의회를 통하여 그 결과를 검증받음으로써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상의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통해 나타난 논점을 중심으로 향후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competency-based management curriculums by position lev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3step model was set up for developing curriculums as follow; ① identifying position lev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② developing competency-based management curriculums by position level, ③ designing of learning intervention. Above all, as a result of identifying position lev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7 positions were drafted. These included: general extension worker under 3 years, general extension worker over 3 years and under 7 years, general extension worker over 7 years and under 20 years, general extension worker over 20 years, extension worker in charge, middle management, executive. Then, i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iority order of competency developing by position. And the priority of general extension worker over 20 years and supervisor was mostly similar, so then these positions were integrated. Based on positions of rural extension workers,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osition level, was developed. Consequently, 6 curriculums were developed. Next, it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task for each competencies and apply them to 6 level curriculums. Finally, modules were organized and designed for each curriculums, and examined through professional workshop. In addition, there wer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issues of our process for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s by position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모(Jin-Mo Kim),이진화(Jin-Hwa Lee),주현미(Hyun-Mi Ju),이정은(Jung-Eun Lee). (2007).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 (4), 1-28

MLA

김진모(Jin-Mo Kim),이진화(Jin-Hwa Lee),주현미(Hyun-Mi Ju),이정은(Jung-Eun Lee).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층교육과정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2007):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