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이용수 21

영문명
Competency Analysi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실(Jin-Sil Kim)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9권 제4호, 29~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구명하고, 현재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수준을 구명하며, 주요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에서 개설한 초임교사과정, 교수학습과정, 뉴패러다임과정, 1정 자격연수과정, 농업계 통합표시과목 연수 교사 총 161명을 대상으로 2007년 8월 7일과 8일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증 등의 추리통계를 적용하였다. 통계적 차이 검증을 위한 유의도는 1%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역량은 크게 교육훈련 역량, 연구 역량, 상담 역량, 행정 및 경영 역량, 산학협력 역량인 5개 역량으로 종합할 수 있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보통 수준이다. 이 중에서 상담․지도 역량이 가장 높은 수준이고, 행정․경영 역량, 교육․훈련 역량, 연구 역량 순이다. 이에 반하여 산학협력 역량이 보통 이하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직진출 경로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성별, 연령 및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대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역량은 교육․훈련 역량에서 수업운영 역량과, 연구역량에서 학회 및 연수참여 역량, 상담․지도 역량에서 학생상담, 생활지도, 인성적 역량이었으며, 행정․경영 역량에서는 학급경영 역량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교직진출 경로에 따라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단지 교육․훈련 역량에서 담당교과의 전공지식과 기술과 연구역량에서 담당교과 관련 전문 직업 개발 역량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평균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40, 50대 교사가 20, 30대 교사보다, 대학원 과정 이수 교사가 대졸 교사보다 높은 역량 수준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제시한 역량에 대하여 전문교과 교사들의 역량이 비교적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관점에서 정리되었다. 이와 같이 구명된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교사 양성, 연수 프로그램 개발, 전문성 개발 및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직업교육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직업교육의 질 제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three specific objectives were 1) determine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2) to analyze the present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3) to verify the difference competency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by main variabl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population of the survey was the 161 vocational teachers who were taking courses in Center for Vocational Educator Development in SNU in 2007. A total of 130 respond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5 main competencie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were determined. The competencies were Teaching and Training, Research, Counseling and Guides, Administrating and Managing,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ies. Second, the present competencies level were analyzed 3.29. In 5 competencies, Counseling Guides competency was 3.68 which I the highest, Administrating and Managing competency was 3.51, Teaching and Training competency was 3.36, Research competency was 3.01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competency was 2.89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path for teacher. Besides Operating class, Participation on conference, Counseling, Guides, Personality, most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gender, age and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significantly on difference on career path for teacher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subject related professional vocation development.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as the aspect of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teachers and community development, connection with industry as well as the fundamental teaching competency. Also, research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should be emphasized to do co-work with general subject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사역량모델 개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실(Jin-Sil Kim). (2007).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 (4), 29-57

MLA

김진실(Jin-Sil Kim).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2007): 2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