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상담을 위한 적응적 창의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152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daptive Creativity Inventory for Workplace Counseling
발행기관
한국기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성원(Sungwon Lee) 조한익(Hanik Jo)
간행물 정보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2권 제4호, 145~17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기업상담에서 활용하기 위한 적응적 창의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적응적 창의성이란, 주어진 업무환경에 최적 화된 개인의 창의성을 반영하며, 창의성에 대한 조직의 업무 성과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성인 남녀 조직구성원으로, 문항 개발 단계에서 총 334명의 설문조사 및 17명의 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수집하 고. 학계전문가 및 현장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를 검증을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조직구성원 363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고 하위 요인을 이론적 근거에 의해 명명하여 측정모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조직구성원 644명을 대상으로 확 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최종 개발된 적응적 창의성 척도는 총 20문항, 4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적응적 창의성의 4 요 인은 ‘변화 지향적 동기(5문항)’, ‘협력적 의사소통(5문항)’, ‘통합적 인지(5문항)’, ‘업무 효율적 행동(5문 항)’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기존에 사용되는 창의성 측정도구와 구별되는데, 즉 창의성의 사회적 효과로서의 조직의 업무성과 뿐만 아니라 개인적 효과서로의 개인의 심리적응을 통 합하고 있다. 이에 본 도구는 기업상담 및 인재교육의 전문가들이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함양하는 과 정에서 개인의 업무 성과와 더불어 심리적 안녕감을 고려하며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daptive creativity inventory which will be a useful instrument in the field of workplace counseling. In this study, the adaptive creativity refers to an individual’s creativity optimized in a given environment, was defined as integrated approach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work performance factors of organization.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male and female employees from various business enterprises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adaptive creativity was developed by selecting final twenty items. The four sub-factors were labeled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creativity including “change oriented motivation(5 items), cooperative communication(5 items), integrated cognition(5 items), and behavior of work efficiency(5 items).”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all factors were acceptable and the whole scale reliability was also agreeable. Thir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four domains model fit was good supporting the cross-validity.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of adaptive creativity and developed a new inventor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ndividual employees would use the inventory for developing appropriate level of creativity in their workplace since the inventory includes both work performance and personal psychological process. It is necessary that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workplace counseling and education have to consider about work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es for the support creativity of employe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원(Sungwon Lee),조한익(Hanik Jo). (2020).기업상담을 위한 적응적 창의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2 (4), 145-177

MLA

이성원(Sungwon Lee),조한익(Hanik Jo). "기업상담을 위한 적응적 창의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2.4(2020): 145-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