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도농간 비교

이용수 17

영문명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Rural Resident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김강호(Kang-Ho Kim)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2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주민의 심리적 복지감과 사회적 자본의 수준,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도시지역과 비교를 통해 구명하는데 있었다. 준거변수로서 문화․여가, 주거환경, 직업, 건강 등 관심영역별 심리적 복지감을 설정하였고, 설명변수로서 사회적 자본은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타인신뢰를 설정하였다. 설명변수의 순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통제변수로서 성별, 소득수준, 연령, 학력수준, 거주지역(시도), 경제활동 상태, 직업 및 산업분야를 설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1-3차년(2006-2008년) 자료 중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를 표본으로 기술통계, t-검증, Hausman-Taylor 추정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의 주거환경에 대한 심리적 복지감은 도시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문화․여가, 직업, 건강 영역은 도시지역보다 낮은 심리적 복지감을 지니고 있다. 둘째, 농촌지역의 경우 타인에 대한 신뢰는 도시지역에 비해 높으나, 가족관계나 사회적 관계와 같은 결속형, 혹은 연결-연계형 네트워크는 도시지역과 차이가 없다. 셋째,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모두 가족관계 및 사회적 관계 등 네트워크 형성이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체로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가진다. 그러나 타인 신뢰는 도시지역과 달리 농촌지역의 경우 유의미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한편, 연구의 결론 및 제한점에 기초하여 정책적 접근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capital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rural residents. Criterion variables were established indicators for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civilized life & leisure, residential environment, job, and health. In addition, family relationship, social network, and trust were selected for social capital as predictor variables.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from 2006 to 2008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ausman-Taylor estim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n rural was higher level than urban, but the rest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lower level. Second, rural residents had more trust than urban residents, but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 residents. Third,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in both rural and urban residents and there were mostly higher effect size in rural than urban. However, the trus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rural. Based on the conclus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some political approach and future research we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강호(Kang-Ho Kim). (2010).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도농간 비교.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 (2), 1-17

MLA

김강호(Kang-Ho Kim).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도농간 비교."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2(2010):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