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전이모형을 적용한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유형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26

영문명
The Analysis of Transition Patter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Type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종범(Lee Jongbum)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2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유형을 구분하고;참여 유형의 전이양상과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 1차(2016년) 2학년 자료;2차(2017년) 3학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직업계고 학생 2,987명이며;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유형은 2학년 시기에는 높은 참여형;보통 참여형;낮은 참여형으로;3학년 시기에는 적극 참여형;취업지향 참여형;수동 참여형;소극 참여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2학년 시기의 높은 참여형의 경우 적극 참여형으로 전이될 확률이 가장 높았고 보통 참여형과 낮은 참여형의 경우 취업지향 참여형으로 전이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셋째;학교유형;졸업 후 진로계획;진로성숙도 등이 진로교육 참여 유형 구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참여 유형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2학년 시기에 보통 참여형에 속한 학생들의 경우 마이스터고에 재학하는 학생일수록;졸업 후 취업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취업지향 참여형으로 전이할 가능성이 높았고 2학년 시기에 낮은 참여형에 속한 학생의 경우도 졸업 후 취업을 계획할수록 취업지향 참여형으로 전이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계고에서의 효과적인 진로교육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ansition patter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atent classes about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determinants on the latent classes and their transition. The Latent Class Analysis(LCA);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was conducted using the 1st(2016) and 2nd(2017) data of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Ⅱ(N=2,98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the latent class of 2nd grade was classified into “Highly engaged”;“Moderately engaged”;“Minimally engaged” and 3rd grade was classified into “Active”;“Employ-oriented”;“Involuntary” and “Passive”. Second;those who belonged in Highly engaged class in 2nd grade transferred mostly to Active class in 3rd grade. Those who belonged in Moderately engaged and Minimally engaged classes in 2nd grade transferred mostly to an Employ-oriented class in 3rd grade. Third;school types;career plan after graduation;and career matur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classes. Fourth;the more students planning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shifting to an Employ-oriented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career education effec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범(Lee,Jongbum). (2020).잠재전이모형을 적용한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유형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 (2), 1-23

MLA

이종범(Lee,Jongbum). "잠재전이모형을 적용한 직업계고 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유형 분류 및 전이 영향요인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2020):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