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감상-비평 교수를 위한 통합적 구조화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an integrated organization for teaching the appreciation-criticism of art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영(Kim, Dong-Y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3권,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간 초등과정 미술과의 감상-비평 교육을 미술작품 읽기를 통한 학습자의 정서 순화에 상당한 초점이 맞춰왔다는 점, 그리고 미술 작품의 감상-비평을 미술 이론과 미술사적 배경 지식에 일치하도록 유도했다는 점에 문제제기하고 이를 보다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고자 미술 작품 감상-비평의 교수를 위한 통합적 구조화에 관련된 논제를 연구한다. 연구가 목적하는 초등과정에서 미술 감상-비평 교수를 위한 통합적 구조화는 다음과 같은 논제로 요약된다. 첫째, 학습자의 개별 정서는 하나의 이상적 이념으로 다스려져야 할 개별적 성질이 아니라, 고유한 개별자로서 학습자의 성장을 보증하는 인격으로 간주하는 열린 관점을 견지해야 한다. 둘째, 미술 감상-비평 교수에서 미술이론과 미술사적 지식(개념)은 작품 읽기의 수렴 목적지가 아니라, 작품 읽기의 활성화를 위한 보조적 도구로서 보아야 한다. 작품 읽기에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지식, 개념 등)는 학습자의 이전 경험을 은유적 조직화하는 발달의 정도를 보여주는 것인 동시에 학습자의 경험을 보다 넓혀주는 도구이다. 셋째, 시각이란 시각 세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뇌가 주어진 시각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그것을 기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새로운 시각-상을 만들어내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미술 창작자가 생산해 내는 그림은 그 창작자의 시각뇌가 세계에 대하여 은유적으로 읽고 구성한 결과이며, 또다시 감상자의 읽기는 감상자 자신의 시각-뇌의 능동적인 은유적 읽기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각-뇌의 읽기 행위는 어느 한 곳으로 환원되지도 수렴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선택해야할 감상-비평 교수 전략은 어린 학습자의 ‘본다.’는 시각-뇌의 능동적 처리 과정을 더욱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starts with challenging some views to have approached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in elementary school up to now; to have focused on nursing children to get good tastes in emotion and directing them to get to knowledges of art theory and art history. Instead, to reform previous views toward rational orientation, this essay will discuss an integrated organization of the appreciation-criticism of art works. Issues from this essay s aim are followed; First, we will have an open mind that emotions of individual child are not regarded as an incomplete personality to have to be purified by an fixed moral idea, but just as an unique personality to show the psychological growth of children. Second, for teaching art appreciation-criticism knowledges of art theory and art history are not treated as an converged destination of reading artworks, but as supporting tools for actively fostering children to read artworks. In reading artworks the language(knowledges, concepts etc.) of art which children use reflects a developmental level of them to metaphorically organize their previous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tool to broaden their experiential foundation. Third, visual perception is an active process to newly make visual images by choosing, selecting and comparing visual data from the visual world. Pictures made by an art creator are results that his visual brain has metaphorically read and constructed the world. also readings of a viewer are products that his visual brain has actively and metaphorically read. So then, a viewer s readings can not be converged and reduced to a certain point. Therefore, the strategy that we will have to take is to activate and foster young persons ‘seeing’ as active processes of visual brain.

목차

Ⅰ. 서론
Ⅱ. 감상-비평 교수-학습의 목적으로서 정서 순화
Ⅲ. 미술 이론과 미술사적 지식의 성취로서 감상-비평 교육
Ⅳ. 알레고리적(해체적) 읽기와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의 감상-비평 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영(Kim, Dong-Yong). (2008).미술 감상-비평 교수를 위한 통합적 구조화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3 , 43-68

MLA

김동영(Kim, Dong-Yong). "미술 감상-비평 교수를 위한 통합적 구조화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3.(2008):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