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민정(Lee, Min J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7권, 205~2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교육에서 미학교육의 중요성의 문제와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계속 있어왔다. 실제로 미학교육이 커리큘럼 속에서 포함되어진 것은 DBAE에서였고, 그로 인하여 미학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지고 그 교육적 의미가 인식되었다. 하지만, DBAE에서의 미학교육은 실천적인 면에서 기대만큼 의미 있는 결실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미술교육에서의 미학교육에 대한 실천 가능한 커리큘럼의 부재,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탄생한 미학교육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 그리고 미학이라는 용어 자체가 갖는 난해함과 애매함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말미암아 여전히 미학교육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가 어려웠으며 그로 인하여 미학 교육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가르쳐야할 지에 대한 혼란은 계속 되었고 일부 학자들은 미술교육에서 미학담론 자체의 무용성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미학과 미학교육에 대한 정의나 범주를 너무 좁고 편협하게 정하였기에 이러한 어려움과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 그 접근이 실패하였다고 진단하고, 미학이라는 용어를 그 근원적인 사용으로부터 다시 검토하고 모더니즘에서 추구하였던 몸과 마음, 감정과 이성, 예술과 일상생활과 같은 이분법적 사고를 반성하고 극복하여 미학 용어가 갖는 의미를 다시 정립함으로써 오늘날 미학교육의 가능성과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cholars have continuously debated about the importance of aesthetics in art education and of aesthetic education and have posed numerous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aesthetics in the educational field. Aesthetic education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tructured curriculum of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Since DBAE, the significance of aesthetic education has become manifested, and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has become recognized. However, aesthetic education in DBAE was not fully developed. The primary reasons for this lack of development include an absence of available curriculum for aesthetic education, problems with aesthetic education related to its birth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and the complex and ambiguous meanings that the term aesthetics has. Because of these reasons, it is still difficult to define aesthetic education, which has led to the continued confusion about what aesthetic education is and how to teach aesthetics to children. In addition,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discourse of aesthetics in art education is usel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difficulties and problems come from a narro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by redefining the meaning of aesthetics by reexamining the term aesthetics from its origin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modernist dichotomy between body and mind, emotion and reason, sense and thought, as well as art and lif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to practice it in art educ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Aesthetics in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DBAE)
Ⅲ. Examining the Limitations and Uselessness of Aesthetic Education
Ⅳ. Rethinking the Meaning of Aesthetics/Aesthetic and Aesthetic Education
Ⅴ. Rethinking Significant Meaning and Important Role of Aesthetics in Art Educat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정(Lee, Min Jung). (2010).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27 , 205-228

MLA

이민정(Lee, Min Jung). "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미술교육연구논총, 27.(2010): 205-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