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이용수 27

영문명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Transition By Playful Art Experience: Focusing on cases of school transition period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윤희(Jang, Yoon-H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3권, 159~19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에 유희적 미술체험이 어떠한 의미와 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고 실제 교육현장과 연계하여 미래의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교급 전환기는 시험, 평가 및 경쟁에 지친 심리적 스트레스와더불어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걱정과 불안 등의 감정이 복합적으로 표출될 수 있기때문에 학사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교육부는 그 대안으로 학교급 전환기를 진로·인문학·문화예술·체육 등의 체험활동이 가능한 자기개발의 시기로 지정하여 중앙부처간의 협업시스템구축, 우수운영사례 배포, 진로관련 프로그램 및 스마트교과서개발 등으로 지원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사회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창의성, 인성, 공감, 소통, 이해 등의 역량과 관련된 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2015 년 교육과정의 점차적 실행으로 미래교육의 차원에서 문화예술영역의 교육적 시도가더욱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미술교육의 당위성을 확립하는 차원에서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에 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전환기 학습자를 위한 미술체험의 유희성, 미래의 예술교육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을 고찰하고 실제 프로그램을 기획·개발·진행하여 사례를 통한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는 지역의 문화재단이 주관하는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기획사업에 공모하여 대표기획자로 참여한것으로, 중학교 3학년의 학교급 전환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운영의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 전환기 학습자를 위한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역할을 논의하고 프로그램 내용적 측면, 운영시스템의측면,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에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연장선에서 청소년의 유희적 미술체험의 유의미성을 시사하며 실제 삶과 연계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ffect of playful art experience on psychological change and stress that school transition learners experience, and to induce the actual vitalization pla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transition from the point of future school education along with actual education environment. Over the school transition period, there are difficulties in doing educational management for the reason that the emotions such as concerns and anxieties du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can be presented complexly with psychological stress derived from various tests, evaluation and competition. To cope with the problem,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has designated school transition as self-development period that enables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career, humanities, culture and arts, physical education, etc., and also supports in a way of establishing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central departments, distributing best operating cases, and developing career-related program and smart textbooks. In addition, as the social paradigm changes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demands related to the creativity, personality, empathy,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re increasing, and also the educational approaches in cultural arts area are being expanded in the dimension of future education along with the gradual implement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transition through playful art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vitalization method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transition period has been made by various case studies of actual program which was designed, developed and progressed after examining the playfulness of artistic experience and contemplating the paradigm of future art education as well a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This case study was done by participating ‘School Art Teacher Support Project’ as a representative organizer which is organized b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The project was conducted with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whole operating process was monitored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ose, the actual rol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for school transition learners was discussed, and the activation methods were drawn in the aspect of program contents, operating syste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youth’s playful art experience in the extension of art education for life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linked to the real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Ⅳ. 사례 운영 결과의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윤희(Jang, Yoon-Hee). (2018).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3 , 159-190

MLA

장윤희(Jang, Yoon-Hee).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3.(2018): 159-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