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孟子 性論의 敎科敎育的 含意

이용수 22

영문명
Mencian Theory of Hsing(性) and its Implication for Learning School Subject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김인(Kim In)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맹자의 성론에 비추어 삶과 교육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맹자는 성선설에 의거하여 양주, 묵적 그리고 고자의 성론을 비판하고 있다. 맹자의 성론이 지니는 특이성은 위의 세 사람이 모두 성과 관례를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는 것과는 달리, 성과 관례를 긴밀하게 관련짓는 데에 있다. 순자는 성은 선하다는 맹자의 주장을 성과 위를 혼동하는 그릇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러한 순자의 입장 역시 성과 관례를 분리해서 파악하는 것에 해당한다. 성선설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해석은, 성이 선하다는 맹자의 주장을 한편으로 타고난 성이 선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과 다른 한편으로 교육의 결과로 획득된 성이 선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양분되어 있다. 성이 선하다는 맹자의 주장은 선한 성은 타고나는 것이면서 동시에 획득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맹자의 입장에서 볼 때, 성은 두 차원으로 구분된다. 타고나는 것으로서의 관례이전의 성 과 교육과 수양의 결과로 획득되는 관례 이후의 성 이 그것이다. 관례이전의 성과 관례이후의 성은 각각 맹자의 용어로 사단 과 사덕 에 해당하며 이 둘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사단과 사덕으로 일컬어지는 성은 앎의 순수한 형식이며 삶의 근원을 이루는 가치판단의 기준이다. 관례이전의 성은 교육의 가능성을 일컫는 말이며 관례이후의 성은 교육의 필요성을 일컫는 말이다. 맹자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은 관례이전의 성을 관례이후의 성으로 실현해 가는 일이다. 이 일은 교육을 통하여 삶 속에서 지식을 배우는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life and education, inherent in Mencius concept of hsing(性). Mencius refutes the theories of hsing of Yang Chu (楊朱), Mo-tzu (墨翟) and Kao-tzu (告子) on the basis of the statement that hsing is good. Unlike any of the three above, Mencius tries to establish a genuine harmony between hsing and convention. He proclaims that Mencius confuses hsing with wei(僞). It is to be noted that Xunzi follows Kao-tzu by separating hsing and convention . Modern scholars, like Kao-tzu and Xunzi, tend to separate hsing and convention. On the one hand, Mencius is interpreted as advocating the goodness of hsing as inborn. On the other hand, Mencius is interpreted as advocating the goodness of hsing as acquired. When Mencius asserts the goodness of hsing, he means that the goodness of hsing is inborn and, at the same time, acquired. In Mencius, hsing acts at two different levels or layers. At one level, there is the hsing prior to convention from birth and at another level, there is the hsing posterior to convention to be realized through culture and education. hsing prior to convention constitutes the four sprouts , whereas hsing posterior to convention defines the four virtues . The one is not different from the other, and both are conceptu ally related in education. In both senses, hsing designates the pure form of knowing and valuing that constitutes the very core of humanity. Hsing prior to convention makes education possible and hsing posterior to convention makes education necessary. From Mencian perspective, education is an activity that realize hsing prior to convention as hsing posterior to the convention.

목차

1 . 서론
2 . 性과 慣例
3 . 맹자 성론의 해석
4 . 맹자 성론의 교육학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Kim In). (2002).孟子 性論의 敎科敎育的 含意. 도덕교육연구, 14 (1), 1-19

MLA

김인(Kim In). "孟子 性論의 敎科敎育的 含意." 도덕교육연구, 14.1(2002):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