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金剛經의 道德敎育的 含意

이용수 34

영문명
An Interpretation of 「Diamond-Sutra」 in the View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이은경(Lee Eun-Kyeung)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135~1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금강경에는 설법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명백히 두 수준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나는 부처와 수보리가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는 설법의 세부사항으로서의 내용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이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 가정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서 그것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내용, 즉 최고의 깨달음이다. 이러한 사실은 세부사항을 가르치는 일과 최고의 깨달음에 도달하는 일과의 관계를 심각한 문제로 부각시킨다. 금강경에 비추어보면, 교과의 내면화는 교육내용의 두 수준과 관련하여 해석될 수 있다. 교과의 내면화는 교과의 세부사항을 이해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그것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하는 과정이다. 이 경우 교과의 내면화는 마음 ‘바깥의’ 교과를 획득하는 과정, 즉 마음의 안과 밖사이의 수평이동이 아니라, 마음의 아래층과 위층사이의 ‘수직이동’으로 파악된다. 금강경에 비추어 교과의 내면화를 해석할 때, 궁극의 깨달음의 표현양상으로서의 如來의 無爲說法과 妙行無住布施는, 교과의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경로로서의 교사,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교섭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금강경에 의하면, 교사는 교과의 ‘전달자’가 아니라 ‘구현체’이다. 교과가 교사의 마음 ‘바깥에’ 있는 고정된 것으로 인식될 때, 교사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교사의 마음과 무관한, 교과의 세부사항을 전달하고 획득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교사를 교과의 구현체로 보면, 교과교육은 교사의 존재를 전달하는 일이며, 교과의 세부사항은 그것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궁극의 교육내용, 즉 實在를 표현하는 것이다. 그 안에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교육내용은 서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 때,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교사와 학생으로 구분되기 이전의 ‘오직 하나인 마음’이 살아 숨쉬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of subject (IOS) by analysing 「Diamond Sutra」(「DS」) in the light of education. Analysing「DS」, the content can be evidently distinguished into two dimensions. One is the particular s of Buddist sermon (說法), and the other is the logical presupposition of particular s-Enlightment (覺). Enlightment is the unmanifested standard of whole process of Buddist sermon and the ultimate aim which must be attained. This, above all, raises question about what is the content which must be tau ght in「DS」, and what is the way which it is internalized. Because「DS」aims at not so much understanding particular s as attaining ultimate Enlightment . IOS must be under stood with reference to two dimensions of content in the light of「DS」. IOS can be described as the process to attain ultimate Enlightment as well as to understand particular s. In this case IOS can be under stood as not process to obtain subject outside teacher s mind, horizontal transa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mind, but as vertical transaction between the upper layer and lower layer in twofold structure of mind. 無爲說法 and 妙行無住布施 by Tathagata(如來) present a new point of view to reinterpret the teacher s status in the process of IO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is view, teacher is not a deliverer of subject but a incarnation of it. When subject is recognized as an object outside teacher s mind, teaching and lerning process is regarded to be separated from the teacher s mind, and to get no further meaning than to deliver and obtain particular s. But when teacher is recognized as an embodiment of subject, the particulars of subject is regarded as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content, Reality or Suchnes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regarded as dynamical process which Reality is realized.

목차

1. 문제제기
2. 수행의 개념
3. 수행의 실제
4. 금강경의 교육학적 의의
5. 도덕교육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Lee Eun-Kyeung). (2002).金剛經의 道德敎育的 含意. 도덕교육연구, 14 (1), 135-165

MLA

이은경(Lee Eun-Kyeung). "金剛經의 道德敎育的 含意." 도덕교육연구, 14.1(2002): 13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