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형식도야이론의 재해석

이용수 260

영문명
Reinterpretation of Formal Discipline Theory: The Conception of General Competency as an Educational Aim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이은경(Eun-Kyung Lee)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43~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핵심역량기반 교육이론과 형식도야이론은 근본적으로 동일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한다. 그 문제는 바로 삶의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발휘되는 ‘일반능력’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것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떤 매체에 의하여 함양되는가 하는 것이다. 두 이론은 모두 일반능력-즉, ‘핵심역량’(key competency)과 ‘정신능력’(mental faculty)-이 존재한다는 데에는 의견의 일치를 보이지만 그 매체에 대해서는 상이한 대답-활동과 지식-을 내어놓고 있다. 듀이에 의하면, 형식도야이론은 정신능력과 그것의 매체로서의 지식의 관계를 사실상 분리된 것-즉, ‘이원론’-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듀이의 견해를 따르면 일반능력을 교육목적으로 삼을 수 있는가의 여부는 일반능력과 매체와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그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일반능력은 교육실천 이전에 ‘사전에’ 결정될 수 있고 그것을 실현하는 데 효과적인 것이면 어느 것이나 매체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일반 능력은 교육실천, 즉 지식을 가르치고 배운 ‘결과로’ 획득되는 것이며 일반능력이 무엇인지는 교육실천에 의하여 비로소 확립된다는 관점이다. 이 두 경우에 ‘일반성’의 의미와 ‘전이’는 완전히 판이하게 이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이홍우의 형식도야이론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일반능력’을 교육목적으로 삼을 수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 세부적 논의는 그의 ‘순환론의 오류’와 ‘추상의 오류’에 관한 논의를 거점으로 하여 형식도야이론에 대한 종래의 비판-즉, 듀이의 이원론-이 타당한가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형식도야이론과 핵심역량기반 교육이론은 모두 ‘일반능력’의 중요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형식도야이론의 재활가능성은 그 자체로 그것의 현대판 이론인 핵심역량기반 교육이론의 정당성을 검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이것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이론이 해명해야 할 근본적이고 항구적인 문제가 무엇인가가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general competency’ and to identify its validity as an educational aim. The main issues of key competence-based theory(CBT) and formal discipline theory(FDT) are whether or not ‘general competency’ is and how it is to be cultivated. They both conclude that there is general competency to be applicable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in social lives, but they disagree how to cultivate general competency. The difference of method is necessarily implied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ion of general competency. The relation of general competency and its method can be understood by the two viewpoints, i.e., means-ends viewpoint and metapractical viewpoint. I think that CBT takes the former, but FDT takes the latter. In metapractical view point, the meaning of ‘general’ should be understood, in its proper sense, ‘universal’ to be equally realized in all things and to be the standard of all things.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general competency is not an end which is determined before practice and regarded as leading it, but ‘the ideal form’ which is realized imperfectly in our life and must be established through our practice. J. Dewey says that the conception of General competency of FDT is to be based upon the error of dualism, but the dualism can be reinterpret to be based upon the two unmistakable errors of formal logic, i.e., the error of abstraction and the error of circularity by Hong-woo Lee. The two errors, which are genuine and should be avoided in formal logic, are inescapable in any education aiming at the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In other words, the two formal logical errors are overcome or nullified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형식도야이론의 이원론적 구조: 개념적 구분의 사실적 분리
Ⅲ. 이원론의 재해석: 순환론의 오류와 추상의 오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Eun-Kyung Lee). (2018).형식도야이론의 재해석. 도덕교육연구, 30 (2), 43-65

MLA

이은경(Eun-Kyung Lee). "형식도야이론의 재해석." 도덕교육연구, 30.2(2018): 4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