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이용수 683

영문명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MOOC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주경(Kim, ju k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53~8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고,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학습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K-MOOC 강좌를 수강한 369명의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여성 은 51.5%(190명), 남성은 48.5%(179명)이고, 이수자는50.1%(185명), 미이수자는 49.9%(184명)이다. 분석결과 K-MOOC의 특성 중에서 교수 실재감이 학습자의지각된 유용편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흥미와 신뢰의 순이었다. 지각된 유용편의성은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의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확산으로 대부분의 고등교육이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편의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학습기대는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편의성과 교육효과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자의 K-MOOC에 대한 기대감은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K-MOOC가 신뢰, 교수실재감, 흥미 요소를 강화하여 학습자에게 유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ied the PUU(perceived usefulness and us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xpect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69 learners who took the K-MOOC. Among them, 51.5%(190 learners) were female learners and 48.5%(179 learners) were male learners. 50.1%(185 learners) completed the course, and 49.9%(184 learners) did not complete the cour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K-MOOC, teaching presenc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UU, followed by interest and trust. It was analyzed that PUU not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partially mediated the characteristics of K-MOOC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PUU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at most of the higher education is conducted online due to the recent spread of the COVID-19. Finally, learning expectation was analyze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U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 s expectations for K-MOO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the need for K-MOOC, which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post-corona era, to provide PUU by reinforcing trust, teaching presence, and interest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경(Kim, ju kyoung). (2020).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학연구, 58 (3), 53-86

MLA

김주경(Kim, ju kyoung). "K-MOOC의 특성과 교육효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학연구, 58.3(2020): 5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