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942

영문명
he Institutionaliz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Global Policy Agenda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김종훈(KIM, Jong-Hun)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5권 제2호, 47~95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교육정책 의제로 급부상한 세계시민교육의 확산 및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세계시민교육의 확산 및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을 사회문화적 관점과 국제경제적 관점, 제도주의적 관점으로 구분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문화적 관점을 나타내는 사회문화적 다양성 수준은 세계 각국의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교사교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경제적 관점을 보여주는 국제경제 관계 의존 정도는 세계 각국의 세계시민교육의 교육과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정책과 교사교육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제도주의적 관점을 보여주는 세계시민사회와의 연계 정도는 세계 각국의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교사교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제도주의적 관점이 사회문화적 관점과 국제경제적 관점보다 개별 국가의 세계시민교육의 확산 및 제도화의 동인으로서 보다 많은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세계시민교육의 정책 도입과 추진이 개별 국가 내부의 특수한 사회문화적·경제적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적 산물이라기보다 세계사회의 제도적 환경 속에서 배태된 세계수준의 교육규범과 가치를 반영하는 제도적 구성물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확산 및 제도화에 미치는 동인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riving forces that affect the global diffus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which is rapidly emerging as an important global education agenda.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driving forces affecting the diffus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GCE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erspectives, namely, sociocultural perspective, international economic perspective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ociocultural diversity that represents sociocultural perspectiv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policies,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on GCED in each country. Secon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which shows international economic perspective, had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urriculum of GCE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i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policy and teacher education of GCED. Third, the degree of linkage to the global civil society that represents institutional perspective has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CED education policies, curricula and teacher education of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stitutional perspectives are more persuasive drivers of the spread and institutionalization of GCED in individual countries than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 and international economic perspec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doption of policies for GCED is an institutional embodiment reflecting education norms and values at the global level embedded in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the world society rather than instrumental means that meet immediate and concrete socioeconomic needs and demands of individual countrie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driving forces for the diffus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GC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목차

Ⅰ. 서 론
Ⅱ. 세계시민교육의 확산 및 제도화 동인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종합적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훈(KIM, Jong-Hun). (2020).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5 (2), 47-95

MLA

김종훈(KIM, Jong-Hun). "세계시민교육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5.2(2020): 4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