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

이용수 505

영문명
Marriage Conflict and Marriage Satisfaction and Forgiveness of Double-income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조미정(Mi-Jeong, Cho) 이미나(Mi-Na Lee)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10권 2호, 59~6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와 M시 지역의 부부 각 2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부부갈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용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에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부부갈등 실태에서 개인적, 부부 관계적 , 부부갈등 전체, 공동생활 갈등, 제 삼자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용서 간 상관관계에서는 결혼만족도가 긍정적 감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세째, 맞벌이 부부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용서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용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용서는 긍정적 감정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 시 용서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부부갈등 시 치유와 조절을 위해 용서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forgiveness of a married cou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4 couples in G and M cities. As a research tool, the marital conflict scale, marital satisfaction scale, and forgiveness scale were us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21.0 was used, and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find out, a t-test and ANOVA test were performed, and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afterward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marital conflict of the research subjects, personal, marital relations, marital conflict as a whole, community life conflict, and third party confli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forgiveness, marriage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positive emotion. Third, forgiveness was found to be mediated i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the lower the level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givenes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ositive feelings, and forg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marital confli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vention of forgiveness is necessary for healing and control in marital conflic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정(Mi-Jeong, Cho),이미나(Mi-Na Lee). (2020).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10 (2), 59-68

MLA

조미정(Mi-Jeong, Cho),이미나(Mi-Na Lee).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10.2(2020): 5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