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덕과를 통한 제주4·3교육 방안모색

이용수 27

영문명
Exploring Jeju 4·3 Education through Moral Subject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강봉수(Kang, Bong-so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2권 제1호, 81~1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체로 현재까지 제주4·3교육은 역사적 사실의 이해와 공감에 바탕을 둔 평화와 인권 교육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왔다. 그러나 앞으로 4·3교육은 평화와 인권을 넘어 4·3의 바른 역사와 여기에 함축된 다양한 도덕적 가치와 교훈을 찾아내어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도덕과를 통하여 제주4·3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4·3의 역사를 발생, 전개, 치유 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에서 도덕적 경험사례로 구성할 수 있는 가치규범 혹은 학습요소를 찾아내어 교육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제주4·3에서 찾아낼 수 있는 가치규범 및 학습요소들은 민족, 민주, 자주, 통일(이상 발생과정), 평화, 인권, 공동체, 생태, 제주정체성(이상 전개과정), 화해, 상생, 정의, 정명(이상 치유과정) 등이다. 이들은 각각 교수학습의 제재이고 주제들이다. 각 제재에 따라 교육목표와 내용을 선정 조직하고, 보조적인 양질의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재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과 기법의 탐색과 활용도 필요하다. 제주4·3의 바른 역사와 도덕적 교훈이 주는 현대적 의미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general, Jeju 4·3 education has been approached in terms of education on peace and human rights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historical facts. In the future, however, the education needs to be reconstructed into a more systematic curriculum by finding the right history and various moral values and lessons implied by them.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sought ways to contribute to Jeju 4·3 education through the moral subject. The history of Jeju 4·3 was divided into the process of occurrence, development, and healing. In each process, value norms or learning elements that could be composed of moral experience cases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s. The values and learning elements found in Jeju 4·3 include nation, democracy, independence, unification(occurrence process), peace, human rights, community, ecology, Jeju identity(development process), reconciliation, coexistence, justice, right naming(healing process). These are each sanctions and theme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organiz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ccording to each sanction, and to produce supplementary high-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re is also a need for exploration and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chniques that can effectively teach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of sanc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the modern meaning of the correct history and moral lessons of Jeju 4·3.

목차

Ⅰ. 서론
Ⅱ. 제주4·3교육의 과제와 도덕과 교육
Ⅲ. 도덕과의 제주4·3 교육내용 선정
Ⅳ. 도덕과의 제주4·3 교수학습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봉수(Kang, Bong-soo). (2020).도덕과를 통한 제주4·3교육 방안모색. 교육과학연구, 22 (1), 81-109

MLA

강봉수(Kang, Bong-soo). "도덕과를 통한 제주4·3교육 방안모색." 교육과학연구, 22.1(2020): 8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