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81

영문명
Workplace Learning as a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A Case Study on Newcomers and Managers of an IT Company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정연순(Yon Soon Chu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24권 제3호, 99~1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신입사원들이 직업 세계에 입문하면서 일터 학습을 통해 능력을 갖춘 개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신입사원들이 입직하여 초급 관리자가 되는 경력단계의 변화를 일터의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 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IT 관련 기업 신입사원 및 초급 관리자들을 주 면담자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행 공동체’란 공동의 기획을 가지고 실행을 함께 하면서 그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실행 공동체’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에 대한 분석은 성인 학습자 연구의 성과에 터한 기존 일터 학습 연구의 개인 중심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 결과 일터의 학습 과정은 경력 단계별로 차별화되는데, 각각의 단계에서 실행 공동체에의 참여를 이끄는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직시기의 교육훈련 과정에서는 ‘모의 상황’ 참여에 의한 ‘모의 수행’이, 현장의 과제를 맡게 되는 신입사원 시기에는 ‘참여조절과 교섭’을 통한 ‘주변적 참여’가, 경력 사원 시기에는 ‘역설적 재구성’을 통한 ‘전격 참여’가 학습자들을 실행 공동체의 완전한 참여로 이끄는 학습의 원리들이다. 또한, 각 참여의 수준에 따라 업무와 능력의 변화 뿐 아니라 정체성의 변화와 학습 과정에서 결합하는 관계망의 변화가 수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이 연구는 일터학습과 ‘실행 공동체’ 읽기를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실행 공동체’는 최근 기업에서 일터 학습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효과적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도, 일터의 일상적 ‘실행 공동체’ 속에서 학습이 작동하는 구조와 방식의 이해를 위한 연구들이 축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earning processes and structures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 Communities of practice is a group made by people who share common concern and objects, a set of problems, common knowledge and culture which is created through common practice. This concept is meaningful to analyses workplace learning which is weaved by practice and relationship. Analyses were conducted on software developers serving for an IT company, ranging from new employees to primary class managers. The main method selected to carry out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es show that the mechanism of workplace learning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ies of practice. Three principles which organize workplace learning in each level of participation are found: simulated practice , peripheral participation , paradoxical reframing . Enculturation and formation of identity as well as knowledge and skills are very important parts of workplace learning. Training provided by company and learning supported by seniors facilitate these learning processes. So, the studies on workplace learning need to be more focused on the dynamics of communities of practice which have their own culture and ways of doing as well as individual learners experiences of learn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연순(Yon Soon Chung). (2005).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4 (3), 99-121

MLA

정연순(Yon Soon Chung).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4.3(2005): 9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