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이용수 192

영문명
Analysis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influence factor in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윤가영(Yun, Ga-young) 박인우(Park, Innwoo) 장재홍(Jang, Jaehong)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자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IEA ICCS 201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협동학습 관련 지표변수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학습적응성, 학습전략, 과제관리, 관계형성, 정서조절, 학업성취 등의 영향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협동적 학습양식은 ‘적극적 활동형’, ‘일반적 활동형’, ‘소극적 활동형’, ‘비활동형’ 4가지 학습양식으로 분류하였다. 협동적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첫째, 성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소극적 활동형’에 속하였다. 둘째, 학습적응성과 과제관리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집단에서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넷째, 관계형성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다섯째, ‘비활동형’ 집단을 제외하고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협동적 학습양식에 속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구성원의 협동적 학습양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협동적 학습양식을 탐색하는 일은 협동학습 수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influence fact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se purpose, we used Panel data that was collected from ‘A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Study Ⅱ: ICCS 2016’. By using this data, we have checked indicator variable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e research method that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atent profile analysis. In this study we set up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such as gender, learning adaptability, learning strategy, task management,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emotional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classified into four style: active style , general style , passive style , and inactive style . As a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style, First, female students belonged to more ‘passive style’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higher learning adaptability and task management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rd, in most learning styles, the higher learning strateg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ourth, the higher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ifth,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except for the ‘inactive group’, the higher-level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has various forms, and analyzing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can help to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class more systematical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가영(Yun, Ga-young),박인우(Park, Innwoo),장재홍(Jang, Jaehong). (2020).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교육방법연구, 32 (1), 1-23

MLA

윤가영(Yun, Ga-young),박인우(Park, Innwoo),장재홍(Jang, Jaehong).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교육방법연구, 32.1(2020):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