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이용수 36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은(Jung Eun Lee) 김진모(Jin Mo Kim)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27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기업체 임직원들 중 실행공동체 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3개 기업의 실행공동체 참가자 5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개인 및 조직성과, 실행공동체 특성, 개인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내용 구조화, 전문가 검토, 예비조사를 거쳐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척도는 지식의 영역 4문항, 공동체 9문항, 프랙티스 7문항으로 총 20개의 문항이었고, 개인 및 조직성과 척도는 개인성과 12문항, 조직성과 19문항으로 5점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Cronbach의 α값은 지식의 영역 0.87, 공동체 0.95, 프랙티스 0.85, 개인성과 0.94, 조직성과 0.96이었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총 287개가 수집되어 회수율은 약 59.8%였다. 이중 일부 자료는 무응답 및 불성실응답 등의 이유로 제거되어 최종분석에는 269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개인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이들 모두가 개인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지식의 영역과 프랙티스만이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이 잘 갖추어질수록 개인성과가 높아지며, 특히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과 소속감의 향상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의 공유와 창출이 개인성과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조직성과도 적합한 주제 선정과 이것의 공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 공유와 창출이 매우 중요하며, 개인성과를 넘어 조직성과를 항상 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지식 공유와 창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에 대한 더욱 세부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계속되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ll member of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n corporate.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530 members of 23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structural element scal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Two hundred eighty seven out of 53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59.8%), of which two hundred sixty nin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individu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and practice. That is individual performance will be high as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prepar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sharing and creating of the knowledge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membership of members in individu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share adaptable topic, and share and create knowledge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actual knowledge sharing and creation will make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은(Jung Eun Lee),김진모(Jin Mo Kim). (2008).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27 (3), 1-23

MLA

이정은(Jung Eun Lee),김진모(Jin Mo Kim).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27.3(2008):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