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녀 집단에서 개발지원관계망 특성이 개발지원기능을 매개로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집단 경로모형 적용을 통해 본 성별 간 차이 -

이용수 51

영문명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Functions and Career Identity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장지현(Jihyun Cha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5권 제5호, 173~1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0.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개발지원관계망 특성, 개발지원기능, 경력정체성 간의 영향 관계에서 남녀 간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중견기업과 대기업 종사자들을 남녀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이 연구는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남녀 집단 간 교차 구인 타당성을 확인한 후, 동일한 경로모형을 남녀 집단 각각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관계망크기, 경력지원, 심리사회지원에서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계망크기는 남성이 좀 더 높은 수준을, 경력지원과 심리사회지원은 여성이 좀 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관계강도, 심리사회지원, 경력정체성 간의 매개 구조 관계가 남녀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에 관계없이 관계강도는 심리사회지원을 통해 경력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셋째, 여성 집단에서는 관계강도가 심리사회지원만을 통해 경력정체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성 집단에서는 관계강도가 심리사회지원은 물론 경력지원을 통해서도 경력정체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 집단에서는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개발지원자의 지위도 심리사회지원을 통해 경력정체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남성은 여성보다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지원자들과 관계 맺고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경력정체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whether the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 relationships among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functions, and career identity. For this it analyzed data of employees in the mid or large size corporates, apply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men had the higher level of network size but women had the higher level of career support and psycho-social support.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average differences were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functions. Second, the structure that psycho-social support medi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ie strength and career identity was common in male and female groups. Third, while tie strength, in women group, affected positively on career identity, only through psycho-social support, tie strength did so through career support as well as psycho-social support, in men group. Furthermore, men were beneficial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rs` position and career identity, with a mediator of psycho-social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현(Jihyun Chang). (2016).남녀 집단에서 개발지원관계망 특성이 개발지원기능을 매개로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집단 경로모형 적용을 통해 본 성별 간 차이 -. 직업교육연구, 35 (5), 173-199

MLA

장지현(Jihyun Chang). "남녀 집단에서 개발지원관계망 특성이 개발지원기능을 매개로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집단 경로모형 적용을 통해 본 성별 간 차이 -." 직업교육연구, 35.5(2016): 17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