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 보고지침에 기초한 특수교육분야 실험연구의 비교분석

이용수 127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roup 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Report Standard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성구(Kang Seong-goo) 송재옥(Song Jae-ok) 권혁상(Kwon Hyuk-sang) 김정기(Kim Jung-gi) 김민정(Kim Min-jung) 서효정(Se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3권 제1호, 93~11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 실험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의 질을 살펴보기 위해 국외에서 주요 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으로 활용하는 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 CEC의 EBP 기준, WWC 표준 등을 기준으로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적 실험연구의 비중이 높은 국내 학습장애 분야 관련 논문 1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심리학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AERA 표준, JARS 지침, TREND 진술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보고지침은 준수하고 있으나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과 관련된 보고지침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윤리 부분과 관련된 보고지침 준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복 연구를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보고지침(CEC의 EBP 기준, WWC 표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다수의 연구 보고지침을 준수하고는 있으나, CEC의 EBP 기준에서 제시한 중재자의 자격이나 훈련 항목에 대한 구체적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WC 표준 분석에서 제시한 무선할당으로 수행된 연구가 부족하여 연구 설계 표준에 부합되는 연구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증거기반실제로서 기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 연구 보고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며, 나아가 연구의 질 향상과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중재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국가 및 지방 교육 당국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etc., which are used as the main research quality evaluation tools and reporting guidelines to examine the quality of research reports of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The pap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15 papers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psychology (AERA’s Standards, JARS, TREND statements), Korean journal articles reported relatively insufficient information pertaining to reliability,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Furthermore, lack of information for future replication studies was also noticeable among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Second, with the reporting standard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CEC’s EBP Standards, WWC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abided by multiple indicators of the reporting standards. The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however, showed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qualification and training for people who provide interventions, which is recommended by CEC’s EBP Standards. In addition, a majority of selected Korean journal articles did not correspond with random assignment of research design recommended by WWC.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research standards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is needed to satisfy the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Furthermore, systematic supports at both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must be provided to improve quality of research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구(Kang Seong-goo),송재옥(Song Jae-ok),권혁상(Kwon Hyuk-sang),김정기(Kim Jung-gi),김민정(Kim Min-jung),서효정(Seo . (2020).연구 보고지침에 기초한 특수교육분야 실험연구의 비교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 (1), 93-118

MLA

강성구(Kang Seong-goo),송재옥(Song Jae-ok),권혁상(Kwon Hyuk-sang),김정기(Kim Jung-gi),김민정(Kim Min-jung),서효정(Seo . "연구 보고지침에 기초한 특수교육분야 실험연구의 비교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1(2020): 93-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