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관련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420

영문명
A Study on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ased on Single-subject Research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허정원(Heo Jeong-won) 전혜인(Jeon Hae-i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3권 제1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참여 행동과 관련된 중재를 실시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질적 지표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9년 8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연구대상, 연구 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질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참여 행동과 관련된 중재를 실시한 논문은 대부분 초등학령기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중도 자폐학생을 대상으로 중재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독립변인은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나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점은 평균 75% 수준으로 질적 지표를 충족시키고 있었으며 종속변인 기술, 종속변인 측정 빈도, 연구 대상자 기술 항목에서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내적타당도, 독립변인 실행의 실용성 및 비용효과성, 종속변인의 변화 크기와 관련된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중재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single-object research papers that were conducted to improv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autism-category disorder,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and analyzed the qualitative indicato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environment, experimental design,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the single-object research were used to find out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papers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to improv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for students with autism-based disorder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age students and the results of intervention were presented to middle-aged autistic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various aspects, but the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and proved to be effective in most studie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dex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score satisfied the qualitative index at an average of 75%, and the dependent variable description, the frequency of measurement of dependent variable, and the subject s description items were evaluated as high, but the internal validity, practicality and cost effectiveness of independent variable execution, and the change size of dependent variable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low.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정원(Heo Jeong-won),전혜인(Jeon Hae-in). (2020).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관련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 (1), 21-40

MLA

허정원(Heo Jeong-won),전혜인(Jeon Hae-in).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관련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3.1(2020):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