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이용수 0

영문명
Factors Affect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ccording to Age in Production Workers
발행기관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저자명
김현미(Kim, Hyun Mi) 최연희(Choi, Yeon Hee)
간행물 정보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19권 제2호, 117~12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간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산직 근로자를 30대, 40대, 50대의 연령대 별로 구분하여 생산직 근로자가 인식하는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에 관해 탐색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산직 근로자의 노후준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중재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지역 2개 공장의 320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 One way ANOVA, Duncan 다중 비교 검증법,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산직 근로자의 노후준비, 건강증진실천행위의 실천 정도, 심뇌혈관질환의 지식과 태도는 연령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연령층 근로자는 30대와 40대 연령층 근로자보다 노후준비, 건강증진실천행위의 실천 정도, 심뇌혈관질환의 인식과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근로자의 노후준비 예측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0대는 42.3%, 40대는 36.0% 그리고 50대는 28.5% 이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산직 근로자의 노후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령별 발달과업과 특성에 맞추어 단계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age group of 30s, 40s, and 50s in production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20 men working in 2 workspaces of Ul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0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Chi-square, One way ANOVA, Duncan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0s, 40s, and 50s worker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knowledge and attitude of cerebrocardiovascular (CVD) diseases. 50s workers were significantly more higher than 30s and 40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cognition and attitude of CVD diseases. The model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explained variance of 42.3% of 30s, 36.0% of 40s, and 28.5% of 50s workers. Finally, cognition of CVD diseases and social support were predictors in explaining the level of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mong production work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production workers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Ⅵ.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미(Kim, Hyun Mi),최연희(Choi, Yeon Hee). (2010).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9 (2), 117-127

MLA

김현미(Kim, Hyun Mi),최연희(Choi, Yeon Hee).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9.2(2010): 11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