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 - 생산적 소비에서 행위주체성으로

이용수 306

영문명
A Study on popular Culture As a Curriculum in an Educational System - from Pro-sumption to Agency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은희(Eun-Hee, Park)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17~1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행위주체성의 관점에서 대중문화의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가지는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중문화 실천으로서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의미 변화를 행위주체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현대사회의 디지털미디어의 확장은 대중문화 실천으로서 텍스트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에서의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요구한다. 나아가 지식의 생산과 소비에서도어떠한 지식이 어떻게 배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개별 미디어가 보편적인 사회에서 대중문화는 생산적 소비의 영역으로부터 생산과 소비의 경계가 허물어진 행위 주체자들의 실천의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중문화 지식은 전통적 지식학습을 중심으로 한 근대교육으로부터 구성적 지식의 실천가로서 학습자의 행위주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견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대중문화가구체화되기 위한 교육적 과제들로는, 첫째 실천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대중문화 텍스트를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확장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실 수업에서 재해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대중문화 텍스트가 필요하며, 셋째, 학습자는 대중문화 실천의과정에서 어떤 기제로 행위 주체자로 참여하는지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eaning of popular culture as the knowledge of the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the agenc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meaning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the practice of popular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agency. The expansion of digital media in modern society requires a new analysis of the audienc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text as a practice of popular culture. Furthermor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there is a demand for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ow knowledge should be distributed. Popular culture knowledge can be regarded as a future-oriented curriculum knowledge in that it can drive education from modern education centered on traditional knowledge learning to strengthen the agency of learners as a practitioner of constructive knowledge. The educational challenges for incorporating popular culture as curriculum knowledge,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a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o be able to expand the popular culture text as curriculum knowledge, and third, to analyze the mechanisms by which the learner participates to popular culture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선택적 지식으로서의 교육과정
Ⅱ. 대중문화의 개념에 대한 논의 과정
Ⅳ.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희(Eun-Hee, Park). (2020).교육과정 지식으로서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 - 생산적 소비에서 행위주체성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5 (1), 117-141

MLA

박은희(Eun-Hee, Park). "교육과정 지식으로서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 - 생산적 소비에서 행위주체성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5.1(2020): 117-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