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 탐색

이용수 61

영문명
Exploring of Strategies for Oper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강경균(Kang, Kyoung Kyoon)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1호, 43~7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 사례를 통하여 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정부기관 프로그램과 2015개정교육과정에서의 전문교과에서의 직업계고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중사례연구를 통하여 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에서의 창업교육은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기술 기반의 창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 한다. 둘째, 직업계고의 교육과정을 통해 이론 및 기능을 습득하고 교육과정과 맞물려 창업교육은 다양한 형태에서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실무 중심의 창업교육으로 운영될 수 있다. 셋째, 직업계고에서 창업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는 형태로는 학교기업 유형, 협동조합 유형, 동아리 유형이 도출되었다. 넷째, 창업교육 운영을 위한 활성화 전략으로서 구성원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섯째, 자신의 기술을 활용한 물건의 제작에서부터 판매 그리고 경영까지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체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 안에서의 창업교육과 함께 학교 밖에서의 창업교육이 중요하다. 일곱째, 지역사회인 대학, 시ㆍ도ㆍ구청 등과 함께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서 지원의 폭과 배움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의 중요한 정책으로서 창업교육 운영이 필요하고, 창업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교원의 전문성 확보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ploring exampl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vocational level in the national government programs and specializ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a multi-case study was conducted on experts to derive a strategy for vocational high schoo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aim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lay the foundation for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Seco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be operated as creative and self-direc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arious forms by acquiring theories and functions through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engaging with the curriculum. Third, school enterprise type, cooperative type, and club type were derived as the types of operation to experi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urth, collaboration with members is important as an activation strategy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fth, overall experience education about the start-up should be made from the production, sales, and management of objects using their own skills. Six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utside of school is important along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chool. Sevent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 and learning by conducting linkage programs with universities, municipalities, wards and ward offic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ope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policy of vocational high school, to establis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nd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균(Kang, Kyoung Kyoon). (2020).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 탐색. 직업교육연구, 39 (1), 43-70

MLA

강경균(Kang, Kyoung Kyoon). "직업계고 창업교육 운영 전략 탐색." 직업교육연구, 39.1(2020): 4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