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 for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Textbook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강미향(Mi Hyang Kang) 오경화(Kyung Wha Oh)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8권 제2호, 63~7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 중 의생활 단원을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세부영역별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필요도를 조사하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활동과제의 학습 유형 및 활용도를 조사하여 교과내용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소재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학생 169명과 여학생 336명으로 총 505명으로 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활동과제의 활용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세부영역별 수업만족도와 교과내용의 필요도, 교과내용의 적절성과 교수방법, 교수매체의 활용, 활동과제를 하고 난 후의 느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 또는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의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Duncan의 다중 범위 검증(Duncan 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 · 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단원 세부영역별 수업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영역에 따른 교과내용의 필요도는 의복재료 영역이 가장 낮은 필요도를 보였으며, 나머지 영역들은 보통 이상의 필요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의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과내용의 적절성에 관련하여 남 · 녀 모두 교과내용이 흥미롭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의생활 단원의 실험 · 실습을 학생들이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교과서를 읽어나가고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수업이 진행되었다’는 응답이 많아 앞으로 다양한 교수방법과 교수매체의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넷째, 교과서의 활동과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견탐구 학습이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동학습은 전혀 활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활용한 활동과제의 유형은 옷차림 영역의 활용도가 가장 활용도가 높았으며, 의복구성의 활동과제 활용도가 제일 낮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clothing curriculum in the 7th technology ·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The standard of satisfaction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detail domains and the standard of necessity and practical use and learners patterns of activity task suggested in textbooks were evaluated. The ninth grade 169 boy students and 336 girl student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irstly, a dress domain got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28.56%) while a clothes material domain took the lowest relative importance(8.07%) among various detail domains. Secondly, the standard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detail domain fell below the average. Generally, girls satisfaction for teaching was higher than boys . Thirdly, a clothes material domain showed the lowest necessity for textbook contents according to detail domain and other domains showed above the average. The necessity for textbook contents appeared high for boy students rather than girl students. In addition, boy and girl students did not have interest in content relevance in textbook. Especially, they could not do well and understand experiments and practices in clothing section. . Finally,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activity task in textbooks was very low. Among various activity tasks, the learning by discovering and exploring were more utilized than cooperating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향(Mi Hyang Kang),오경화(Kyung Wha Oh). (2006).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 (2), 63-77

MLA

강미향(Mi Hyang Kang),오경화(Kyung Wha Oh).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2006): 6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