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수연(Kim, Su-Yeon) 이심열(Lee, Sim-Yeol)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4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위치한 남녀중학생 1학년 270명과 3학년 252명, 총 522을 대상으로 학년별 · 성별에 따라 기술 · 가정교과 내의 식생활단원에 대한 인식, 활용도, 수업만족도, 요구도 및 학습 후 학생들의 식생활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술 · 가정 교과에 대하여 1학년과 3학년 모두 선호도가 낮았으며, 좋아하는 이유로는 1학년, 3학년 모두 실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이며, 싫어하는 이유로는 내용이 흥미 없기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술 · 가정교과에 대하여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흥미도를 보였으며, 실생활 도움 정도는 3학년이 1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 · 가정교과 내의 식생활단원에 대하여 1학년의 선호도가 3학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1학년, 3학년 모두 조리실습을 좋아하기 때문에’가, 싫어하는 이유로는 1학년, 3학년 모두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의 필요도는 1학년이 3학년보다 더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식생활 단원이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도 1학년이 3학년보다 더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실생활에 도움이 안되는 이유는 1학년, 3학년 모두 실생활에 적용할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많았다. 식생활단원에 대한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P<0.001). 식생활단원에 대한 수업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요구도는 1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필요도를 보인 것은 1학년과 3학년 모두 조리의 기초와 실제’였다. 식생활 단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요구도, 만족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도와 만족도, 만족도와 활용도, 요구도와 활용도간에 모두 유의적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선호도 및 활용도, 요구도 등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학년의 선호도, 요구도, 활용도 등이 3학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영역을 선호할수록 식생활 수업을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식생활영역 요구도와 만족도, 활용도 등이 높았다. 따라서 식생활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식생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식생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높은 학업성취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cognition, applicability, class satisfaction, and needs as well as students attitudes for eating behavior by 1st and 3rd graders of a mixed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areain relation to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reb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trategies of educational effect maxim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 the curriculum. 522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oth 1st and 3rd graders were found to exhibit relatively low preference fo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While 1st grad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subject than 3rd graders, the frequency of practical use of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in every day life was higher in 3rd graders than that in 1st graders. For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he subject, preference level of the 1st graders was higher than 3rd graders. The 1st graders were higher than 3rd graders in the needs for food and nutrition section as well as in usefulness in every day life of the unit. The applicability in every day life of the unit was found to be generally higher, with 1st graders having a higher level of applicability than 3rd graders (p<0.001). Class satisfaction of the unit was higher in 1st graders than 3rd graders, with the most satisfactory unit being basics and practice of cooking both for 1st and 3rd graders. Needs for food and nutrition unit were higher in 1st graders than 3rd graders, with the unit highly needed being basics and practice of cooking both for 1st and 3rd graders. Regarding interrelation of the degree of preference, need, applic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as the preference was high on food and nutrition, the degree of need, applic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was high. As respondents recognized food nutrition section necessary, they were more satisfied and showed high applicability for the section. Therefor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should be improved with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and subject contents so that they will be best fit for students by grade, to increase preference, applicability and necessity in every life. In addition, to maximize the applicability of the subject in everyday life, sufficient class-time should be assigned for the purpose of experiment- and practice-based education, and a wide range of teaching strategies are need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the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Kim, Su-Yeon),이심열(Lee, Sim-Yeol). (2007).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 (4), 1-15

MLA

김수연(Kim, Su-Yeon),이심열(Lee, Sim-Yeol).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4(2007):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