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주지역 여고생의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영양지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by Weight Control Attemp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원(Lee Kyung-Won) 김복란(Kim Bok-Ra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20권 제4호, 91~1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주지역 여자고등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라 체중조절 태도, 체중조절과 관련된 생활습관, 영양지식, 식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 중 체중감량을 시도한 여고생은 284명(58.4%)이었으며, 체중감량 시도군의 94.7%, 비시도군의 60.7%는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체중감량 시도군의 85.2%와 비시도군의 50.3%는 자신의 체형에 불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시도군의 21.8%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비시도군(5.5%)의 운동자 비율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상자의 영양지식점수는 평균 14.3점(20점 만점)으로 체중감량 시도군(14.5점)은 비시도군(13.9점)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특히 균형식, 체중조절 관련 지식 등의 항목에서 정답률이 높았다.
식행동은 평균 31.3점(가능점수: 15~45점)으로 보통인 편이었고, 특히 식사속도, 다양한 음식섭취, 식품군별 섭취빈도(유제품, 해조류, 식물성 유지)에서 문제가 나타났으며, 체중감량 시도군은 비시도군에 비해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 음식을 먹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고생들에게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체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 영양교육을 해야 할 것이며, 이들에게 올바른 체중조절을 위한 방법과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for total 503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Kangwon province, and thereby determine any potential effectiveness of their trials to reduce weight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own figure, daily living practices related to weight control,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ut of all respondents, it was found that 284 girl students(58.4%) ever tried to reduce weight, and both trial group(trying to reduce weight) and no-trial group were much interested in weight control(94.7% vs. 60.7%). But 85.2% of trial group and 50.3% of no-trial group were dissatisfied at their figure.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rial group practicing regular exercise was higher than that of no-trial group doing so(21.8% vs. 5.5%). Subjects scored 14.3 out of 20 on a nutrition knowledge scale, but tri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14.5) than no-trial group(13.9)(p<0.01). In particular, it was notable that trial group showed higher rate of correct answer in certain items such as balanced diet and knowledge about weight control.
It was found that our all respondents showed moderate dietary behaviors, which is demonstrated by their mean score of 31.3 in dietary behaviors(possible score: 15~45). Notab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roblems exposed in their dietary velocity, intake of various diets and intake frequency for each food group(dairy products, marine plants and vegetative oil and fat).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rial group taking diet with vegetative oil was higher than that of no-trial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lended Learning(BL) 전략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청소년과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 고등학생의 고령화사회와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청소년의 가족체계유형과 학교생활적응 및 행동문제의 관련성
- 청소년이 인식하는 중학교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와 교육 필요도
- 중학교 교사의 기술 · 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 활용실태
-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와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 원주지역 여고생의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영양지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중학생의 또래 직접 피공격과 간접 피공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독서교육을 이용한 식생활 단원 수업의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
-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 연구동향
- 대전지역 중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스트레스 및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 예비 가정교사들의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의 유형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