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와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이용수 15

영문명
The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tudents Perception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선정(Lee Seon-Jung) 신혜원(Shin Hye Wo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20권 제4호, 173~18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울 소재 11개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실태를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가정교과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가정교육전공 교육목표는 공통적으로 가정과 교사의 재교육, 전문성 향상과 유능한 가정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졸업 이수학점은 대부분 30학점이고, 교직과목은 6~8학점, 전공과목은 16~21학점, 논문 학점은 3~6학점이었다. 전임교수의 확보가 부족하고, 3개 학교만이 사범대에 가정교육과가 개설되어 있었다. 교직과목은 교사자격 검정령에 의한 과목이 공통으로 개설되었다. 전공과목은 가정교과교육, 의류학, 식품영양학 영역의 교과목 개설 비중이 높고, 소비자ㆍ가정 관리학, 아동ㆍ가족학, 주거학 영역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교육대학원생은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교과교육 전문가 양성, 교원양성기관, 교사 재교육 순으로 인식하였다. 가정교육과 학부출신과 직업이 교사인 학생은 교사 재교육에, 타과 출신과 교사가 아닌 학생은 교원양성기관에 더 높게 인식하였다.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나 특히 전공과목 중 실험ㆍ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만족도 비교는 교직과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가 아닌 교육대학원생이 교사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교사인 경우 전공과목의 학교현장 활용도가 높아 실제 수업을 할 때 전공과목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개선안으로는 전임교수의 확보와 전공과목 개설확대를 요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peration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o find out how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m.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use of handbooks issued by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through telephone conversations with the administrative staff. To determine how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ome Economics perceive their Home Economics cours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graduate students in 1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 total of 131 accomplish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11 graduate schools aimed to retrain their teachers,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oduce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s come in two strands; a teacher s course and a major course. Most of the schools require a total of 30 credits. All Schools lack professors. Only 3 graduate schools have a home Economics Department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ll graduate schools are offering a teacher’s course based on a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In a major course,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subjects, with Clothing and Textiles and Food and Nutrition being given greater emphasis, and Consumer Economics, Home Economics Management, Child Care, and Family and Housing Studies being given less emphasis. Second, they mostly regar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oducer of experts, followed by producers of teachers and teacher re-trainers. Those who were major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ollege, and the teachers, are more interested in teacher re-training, while the non-teachers and those who were not major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more interested in producing teachers. They are less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a major course, especially experimental subjects. For a teacher s course, the graduate students who are not teachers exhibited higher satisfaction, whereas the teachers showed lower satisfaction. But teachers registered more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use of major subjects in the educational field, thinking that their major was a big help in their work at a school. As for what has to be improved with regard to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urse, many cited the necessity of securing a good faculty and expanding the major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관련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정(Lee Seon-Jung),신혜원(Shin Hye Won). (2008).서울소재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와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 (4), 173-186

MLA

이선정(Lee Seon-Jung),신혜원(Shin Hye Won).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와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2008): 173-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