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

이용수 342

영문명
The Direction of school innovation from the becoming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최재모(Choi, Jae Mo) 김미숙(Kim, Misook)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9권 제4호, 147~1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교육의 기저담론을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학교교육의 기저담론이 교육의 근본이념을 담고 있어서 모든 교육 활동의 방향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학교의 제반 시스템과 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성적 관점에서 들뢰즈, 바디우, 데리다, 라캉의 철학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학교교육의 기저에 있는 재현담론의 부정성(否定性)과 생성적 관점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생성적 관점에서 학교혁신의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 학교 문화, 지역사회 영역에서 재현담론이 갖는 부정성과 생성적 관점의 혁신성 그리고 그 교육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underlying discourse to overcome the problem of established school education as a modern project and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school innovation as post-modern school. It is important to review basic discourse underlying school education since it not only dictates the direction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but also affects all the existing school systems and education programs. To do this, we briefly looked at the theory of Deleuze, Badiou, Derrida and Lacan, and then the four main areas of unit schools such as curriculum, teacher expertise, school culture, and community. In this process, the negativity of representation education discourse, the innovation of generative education discourse, and the measures of school education innovation were discussed. This paper concluded by suggesti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becoming perspective.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생성적 사유와 탈근대 교육
Ⅲ. 생성적 관점의 학교혁신 방향
Ⅳ. 생성적 관점에서의 학교혁신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모(Choi, Jae Mo),김미숙(Kim, Misook). (2019).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 교육사회학연구, 29 (4), 147-174

MLA

최재모(Choi, Jae Mo),김미숙(Kim, Misook). "생성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혁신의 방향." 교육사회학연구, 29.4(2019): 147-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