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추이 및 근인

이용수 379

영문명
Changes in Academic Resili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rends and Underlying Factor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김경근(Kim, Kyung-keun) 심재휘(Shim, Jaehwee)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9권 제4호, 37~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ISA 2006∼2015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고등학생의 학업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했고, 그 과정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가운데 특히 어떠한 요소가 학업탄력성 변화에 근본적인 동인으로 작용했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국제비교 관점에서 학업탄력적 학생 비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06년 이래 학업탄력적 학생 비율이 급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한국의 경우 모든 시점에서 OECD 평균보다 학업탄력적 학생 비율이 높긴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차이가 크게 감소하게 되었다. 한국 자료만을 사용하여 국가 내 관점에서 학업탄력적 학생 비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은 2012년까지는 낮아졌지만 2015년에 소폭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생한 학업탄력성의 반등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추진된 일련의 교육정책 및 소득분배의 일시적 개선과 일정 정도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읽기 및 수학 영역 모두에서 여러 사회경제적 배경 관련 변수들 가운데 가구소득과 학업탄력성 간 연관성이 최근에 올수록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부모 직업지위와 학업탄력성 간 연관성은 상대적으로 가장 미미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연관성이 점점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탄력성 제고를 통해 계층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가구소득과 학업탄력성 간 연관성을 지금보다 훨씬 더 느슨하게 만들기 위한 교육복지의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authors explore how academic resili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has changed over time and which of the underlying factors that make up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in particular,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changes of academic resilience using PISA 2006-2015 data. The results from analysis i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show that Korea has witnessed a sharp drop in the proportion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since 2006. Accordingly, although Korea has a higher proportion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than the OECD average at all times, the gap ha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Analyzing the ratio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in a within-country perspective using only Korean data, however, the authors found that academic resilience of Korean students decreased until 2012 but showed a slight rebound in 2015. The recent rebound in academic resilience seems to be related to a series of educational policies geared toward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and temporary improvement of income distribution in recent years. Meanwhile,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academic resilience in both reading proficiency and mathematics performance, are very strong and have been increasingly enhanced in recent years. Contrary to expectation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occupational status and academic resilience is relatively weak, and the association is found to have been weakening over time.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concluded that in order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lasses by improving academic resilience, it is urgently needed to strengthen educational welfare to mak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academic resilience much looser than it is no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근(Kim, Kyung-keun),심재휘(Shim, Jaehwee). (2019).한국 고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추이 및 근인. 교육사회학연구, 29 (4), 37-64

MLA

김경근(Kim, Kyung-keun),심재휘(Shim, Jaehwee). "한국 고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추이 및 근인." 교육사회학연구, 29.4(2019): 3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