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이 경험하는 협력적 학습의 특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이용수 133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4-year University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훈호(Kim, Hoon ho)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4호, 205~2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토론과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협력적 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소규모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 사고 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도 NASEL 자료와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생 간 학습 시간,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 정도의 차이는 학교 특성보다 학생 개인 및 학습 특성에 기인하고 있다. 둘째, 협력적 학습에서 경험하는 토론 및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은 학생들의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을 증가시켰으나, 영향력의 크기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셋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스터디 그룹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수업 중 ‘고차원적 사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동료들과 토론하고 토의하며,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 활동 확대 및 고차원적 사고 활성화를 위해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활대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lass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fluence on their hours of learning,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used 2018 NASEL data as well as public data on university information and adapted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analysis.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learning hours,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are more effectively explained by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institutional factors. Second,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etting increased their average ‘learning hours’ per day, bu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limited. Third,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further activate their ‘study group activities’. Fourth,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higher-level thinking activities in class hours. Followings are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lecture-style teaching method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more participative learning methods which include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more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exp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vitalize their higher-level think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훈호(Kim, Hoon ho). (2019).대학생이 경험하는 협력적 학습의 특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6 (4), 205-233

MLA

김훈호(Kim, Hoon ho). "대학생이 경험하는 협력적 학습의 특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6.4(2019): 205-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