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이용수 327

영문명
A Study on Improvement of Korean Folk Song(yugjabaegi-tori) Notation and Contents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정(Hey Jung Kim)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4호, 147~16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수록 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자배기토리는 ‘미라도-도시라미’의 음계이며, ‘종지음’, ‘꺾는 음’, ‘떠는 음’ 정보를 기보해주어야 한다. 둘째, 육자배기토리의 주요 구성음은 ‘미라도’의 3음으로 소개되어야 한다. 셋째, 꺾는 음의 표기는 ‘도-시’를 모두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넷째, 떠는 음 표기는 앞에 ‘C’형을 붙이지 말고 고르게 떠는 형태로 그려주어야 한다. 다섯째, 시김새 설명은 떨어서 내는 음, 꺾어 내리는 음과 같이 직관적인 설명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n music i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yugjabaegi-tori is the scale of Mi-La-do--do-Si-Ra-Mi , and information related to cadence and expression should be written. Yugjabaegi-tori is plagal modes. So the song always ends with la. Second, the skeletal sound of the yugjabaegi-tori is ‘Mi’, ‘Ra’, ‘do’. Third, this scale must represent both ‘do’ and ‘Si’. Fourth, the floating sound should be drawn in the form of floating evenly. Fifth, an intuitive explanation is sufficient for the explanation of musical expre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육자배기토리의 음계와 주요 구성음
Ⅲ. 초등 음악 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와 시김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Hey Jung Kim). (2019).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음악교육연구, 48 (4), 147-160

MLA

김혜정(Hey Jung Kim). "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음악교육연구, 48.4(2019): 14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