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학기제가 중학생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36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on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황지원(Hwang, Jiwon)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4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운영만족도 조사를 통해서 중학생들의 역량을 검토하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인들을 다양하게 탐색해 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6년에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시행된 후 처음으로 실시한 자유학기제 운영만족도 조사 결과(사전-사후 검사)를 재분석하였다. 학생의 역량을 중심으로 미래준비역량, 자기효능감, 진로역량의 세 가지 역량을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정책의 속성상 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역량의 분산을 학생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분리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자유학기제 시행 이후 모든 역량 변인의 값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역량 변인들은 약 10~13% 정도의 학교 간 분산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생 수준에서 수업만족, 수업참여, 교사관계, 교우관계, 진로탐색활동 등의 활동은 대부분 학생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학교 수준의 변인들은 변인별로 상이한 효과를 보였는데, 교사들이 자신의 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읍면지역의 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에 대한 무선효과 분석 결과, 읍면지역일수록 교우관계가 미래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는 등 학교 수준 변수의 차별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 수준 변인의 효과에 따른 맞춤형 운영 전략 수립, 학생 과정 변인에 대한 주목, 지속적인 학교 수준 변인의 모니터링, 학생 역량 진단 및 관련 연구의 활성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cap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 free semester satisfaction survey and explore various changes in student and school level that affect them.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Free Semester Satisfaction Survey (pre-post-examination) were re-analyz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fully implemented in all middle schools in 2016. Three competencies of future prepar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ability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based on students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variance of competencies was divided at the student level and the school level,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irst, the value of all competency variables has improv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 most competency variations had a distribution of about 10 to 13 percent between schools. Third, activities such as satisfaction of classes, participating in classes, teacher relationships, friendship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t the student level were mostly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student competency. Fourth, school-level variables showed different effects, with the higher teachers awareness of their competencie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and the more students in townships, the more self-efficacy. Fifth, the random effects analysis showed that the school-leve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capacity of friends in urban areas. Through these results, we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establishing a customized operation strategy based on the effects of school-level changes, attention to student-course variation, monitoring of continuous school-level variations, and activating student competency diagnosis and 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자료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원(Hwang, Jiwon). (2019).자유학기제가 중학생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핵심역량교육연구, 4 (2), 1-23

MLA

황지원(Hwang, Jiwon). "자유학기제가 중학생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핵심역량교육연구, 4.2(2019):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