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yeblinks, EP Augmenting / Reducing and Personality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이성훈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1권 제2호, 156~162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4.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눈깜작임은 뇌에서 감각을 조절하는 기능과 관계된 개인의 인지능력과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성격이 눈깜작임과 증감뇌유발전위 등과 상호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연구하려고 하였다. 방법 : 44 명의 정상 대학생에게 증감뇌유발전위, 눈깜작임과 Zuckerman 의 감각추구척도와 Eysenck 성격설문지 동을 조사하여 그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증감뇌유발전위에서 빛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눈깜작임이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성격척도에서 눈깜작임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척도만이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눈깜작임과 증감유발전위의 기울기와 가장 강한 정상관관계를 보인 뇌의 부위는 우측 후 측두엽이었다. 결 론 : 감각추구경향이 강할수록 눈을 적게 깜작이었다. 유발전위보다 눈깜작임이 성격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눈깜작임이 더 일차적인 필터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우측 후 측두엽은 여러 뇌 부위 중 시각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Eyeblinking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or personality traits thought to related to brain mechanisms of sensory modulation. This study explored whether personality traits are related to the rate of eye blinks and how eyeblink and evoked potential augumenting-reducing(EPAR) interact Methods: Forty four students were studied with EPAR topography to explore how eyeblinks, personality and EPAR interact The Zuckerman Sensation Seeking Scale(SSS)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were used as personality measured by a stimulus response program during EP study. Results: Rate of blink increased as intensity of light increased. The General(GE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TAS), Experience Seeking(ES) and Disinhibition(DS) subscales in SSS and Extraversion-Introversion(E) subscale in EPQ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number of eyeblinks in the hightest intensity of light, whereas Neuroticism(N) subscales in EPQ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eyeblinks with the brightest light and EPAR slope varied topographically.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in right posterior temporal area. Conclusion: High sensation seekers blinked significantly fewer times than lower sensation seeker did. Higher personality correlations with eyeblink than with EP may imply that the eyeblink works as a primary filter since it is more directly related to central mechanisms of sensory modulation than EP. The right posterior temporal are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on of visual stimuli.

목차

Introduction
Method
Result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훈. (1994).Eyeblinks, EP Augmenting / Reducing and Personality. 수면정신생리, 1 (2), 156-162

MLA

이성훈. "Eyeblinks, EP Augmenting / Reducing and Personality." 수면정신생리, 1.2(1994): 156-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