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이용수 55

영문명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Korea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정상근 황익근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4권 제1호, 107~11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범불안 장애환자에서 스트레스작업에 의한 정신 생리적 반응양상이 건강대조군과의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고, 정신생리적 반응과 불안평가척도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범불안장애환자 23명과 건강군 23명을 대상으로, 기저기전 해밀턴 불안평가척도, 상태-특성불안검사, 기저기직전 스트레스작업직후 검사종료시 주관적 스트레스정도, 기저기와 휴식기 및 두 가지 스트레스작업(암산과 이야기작업) 동안의 정신생리적 측정치들(피부온도, 근전도, 맥박, 피부전도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근전도는 암산작업 직후 및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에, 맥박수준은 암산작업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기간에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피부온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반응, 근전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 모두,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작업 직후 회복 반응에서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 불안장애군내에서 스트레스작업시 피부전도반응만 놀람반응에 비해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3) 기저기전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의 피부전도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해밀턴 불안평가척도와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암산과 이야기 작업기간중,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중 피부전도반응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4) 근전도에서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피부전도반응에서 해밀턴 불안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암산작업시 놀람반응이, 이야기작업시 놀람반응이, 상태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놀람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rating scales and those patterns in patients were examine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D) and 23 healthy subjects were evaluat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RSA)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fore baseline stressful tasks.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were evaluated just before baseline period, immediately after stressful tasks, at the end of the entire procedure, and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electrodermal response(EDR) during baseline & rest and during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 (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1) 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G level during rest after stressful tasks and higher HR level during all period except TM compared to control group. 2) AD group showed lower change in the startle response(SR) of ST, in the SR &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during TM, and in the RR of EDR immediately after TM than control group. AD group showed that the RR of ED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R during stressful tasks. 3) We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RR of EDR after TT in AD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RSA score and the SRs of EDR during stressful tasks, and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SR of EDR during TT.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healthy subjects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목차

서론
연구방법 및 대상
결과
고찰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상근,황익근. (1997).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수면정신생리, 4 (1), 107-119

MLA

정상근,황익근.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수면정신생리, 4.1(1997): 10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